<1부> 진상규멍 활동 ① 1970-80년대

▲ 제주 4·3이 66년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사진은 지난 1989년 4월3일 제주시민회관에서 '4월제 공동준비위원회'가 주관한 4·3추모제.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진상규명 촉매제 「순이삼촌」
이론적 기틀 다진 4·3연구소 
1989년 도민사회 화두 떠올라
 
4·3의 진실을 찾기 위한 노력이 수십년간 진행됐지만 4·3은 여전히 완성되지 않은 역사다. 그동안 수많은 역경 속에서도 끊어지지 않았던 4·3 진상규명 노력으로 4·3특별법이 제정되고 국가차원의 4·3진상조사보고서, 국가원수인 대통령의 공식사과 등에 이어 4·3국가추념일 지정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4·3의 역사는 진행형이다. 이에 따라 4·3진상규명 과정을 되짚어 보고, 이를 통해 4·3완전한 해결을 위한 과제를 점검한다.
 
4·3진상규명 노력은 짧게는 지난 1987년 민주화 운동, 길게는 이승만 자유당 정권이 무너진 196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 4·19혁명 직후 4·3의 진실을 증언한 기록들이 보고서로 작성돼 국회에 제출되는 등 진상규명 노력이 이뤄졌지만, 다음해 5·16 군사쿠테타로 다시 묻히게 됐다.
 
하지만 군사독재정권도 4·3 진상규명 노력을 막지는 못했다. 1978년 서슬퍼른 유신시절 누구도 입에 담지 못했던 4·3의 참혹함이 제주출신 소설가 현기영씨의「순이삼춘」으로 세상에 알려지면서 4·3진실 찾기의 물꼬를 트는 기폭제가 됐다.
 
이후 1980년대 중반부터 사회운동단체, 학계, 문화예술, 대학생, 언론계 등의 진상규명운동이 본격화됐다.
 
특히 1989년은 4·3운동의 불을 더욱 댕기는 해로 기록된다. 현기영씨를 주축으로 한 4·3연구소의 발족 및 제주지역운동단체들의 첫 4·3추모제 개최, 문화예술계의 4·3 마당극, 노래극, 문학제, 강연회 등이 대대적으로 펼쳐지면서 4·3진실규명은 도민사회의 화두로 자리잡게 됐다.
 
4·3 진실규명을 위한 이론적 기틀을 다진 4·3연구소는 1989년 5월10일 공식 발족했다. 초대 소장은 현기영씨가 맡았고, 4·3의 역사적 진실과 도민의 명예회복, 그리고 이를 통한 민주사회 건설과 민족통일을 앞당기겠다는 게 연구소의 활동 목표였다.
 
이후 4·3연구소는 지금까지도 4·3의 진상규명운동에 중심에 서 있을 뿐만 아니라 4·3 완전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영헌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