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기로에 선 제주] 2부 기후변화, 블루오션으로 만들자-1. 신재생에너지로 적극 대응

▲ 제주지역은 바람이 일정속도를 유지하며 오랜 기간 불기 때문에 풍력발전기 가동률을 높이는데 적합하다. 사진은 제주도 성산풍력발전단지.

풍부한 바람자원 탄소없는 전력생산공급체계 구축 시급
태양 바이오가스 청정자원 확대…전기차로 탄소 줄여야

최근 지구는 기후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큰 재앙에 직면해 있다. 인류가 할 수 있는 것은 대책은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 등에 견디는 '적응'과 함께 재앙을 늦추거나 막기 위한'대응'이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탄소를 줄이는 것이며, 가장 큰 열쇠로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고품질의 바람자원을 바탕으로 카본프리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 키워드 풍력
 
돌과 여자 그리고 바람이 많아 '삼다(三多)도'로 불릴 만큼 제주는 바람의 섬이다. 특히 일정속도를 유지하며 오랜 기간 바람이 불면서 풍력발전기 가동률을 높이는 등 적합, 고품질의 청정자원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 때문에 제주지역은 현재 16곳에 119만06㎿규모(66기)의 풍력발전기가 전력을 공급하면서 연간 18만4000t의 이산화탄소의 저감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앞으로 5곳에 116㎿(38기)의 풍력발전단지가 허가절차가 완료돼 착공되는 등 제주지역에서 풍력발전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제주의 풍력발전산업이 소음과 경관훼손 논란, 부지확보 제한 등으로 인해 앞으로 개발규모가 제한될 수밖에 없지만 제주도는 2030년까지 350㎿규모로 육상풍력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해상풍력 카본프리아일랜드 핵심과제
 
제주도가 기후변화대응의 메카로 성장하면서 에너지 독립을 위해 카본프리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전력생산의 원료를 화석에너지 대신해 풍력과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로 모두 대체하는 것이 목표다.
 
만약 제주도가 이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산업과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으로 연간 233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이는 1770만800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
 
특히 2030카본프리아일랜드를 성공을 좌우할 수 있는 핵심과제가 해상풍력발전단지다.
 
제주도는 우선 2010년까지 1GW급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개발해 사용전기에너지의 50%를 생산하고. 2030년까지 2GW의 해상발전규모를 확대해 전기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할 계획이다. 
 
해상풍력은 육상과 비교해 풍속이 20%정도 높아 육상풍력발전에 비해 70%정도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태양과 바이오 등 영역 넓혀야
 
제주지역의 신재생에너지산업은 풍력발전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날씨자원이라는 불확실성 때문에 다양한 청정자원을 활용한 전력생산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풍력을 제외한 제주지역내 신재생에너지 공급시설은 태양광 86곳에 2만2066㎾, 그린홈(소규모 태양광발전) 1217가구 3430㎾, 바이오가스 3곳 1475㎾, 소수력발전 4곳 836㎾ 등이다. 
 
풍력에 이어 실용·경제성을 갖추고 있는 태양광발전은 앞으로 181곳에 4만2295㎾ 규모가 추가로 늘어나게 된다.
 
현재 풍력발전과 비교하면 비중은 미미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연구 및 기술개발이 이뤄진다면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은 풍부하다.
 
양돈산업 비중이 높은 제주지역에서는 가축분뇨와 농산물부유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발전산업을 육성한다면 청정에너지 생산과 축산분뇨 친환경처리 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현재 파력·조력·해수삼투압 등 바다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시스템은 연구단계에 있지만 4면이 바다인 제주에서는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신재생에너지산업 중 하나다.
 
▲ 전기자동차 충전소
△전기차 보급 새로운 교통체계 구축
 
제주도가 이산화탄소 절감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육성에 이어 추진하는 대책이 전기자동차 보급사업이다.
 
올해 4월기준으로 제주지역에 408대의 전기자동차가 운행중에 있으며, 전국의 21%를 차지하고 있다. 
 
휘발유 차량대신 전기차를 이용하면 1대당 1년간 이산화탄소 3.2t의 저감효과가 있으며, 이는 매년 23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것과 같다.
 
이를 감안하면 제주지역에서는 현재 전기자동차 보급으로만 연간 1305t의 이산화탄소를 줄여 9384그루의 소나무숲을 조성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도는 2017년까지 전기차 2만9000대, 2020년까지 9만4000대, 2030년까지 37만1000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이 완료되면 2연간 이산화탄소 118만7200t를 저감시키는 등 기후변화 대응형 교통체계를 갖추게 된다. 김용현 기자

"제주도가 추진하는 2030카본프리아일랜드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도시로 우뚝 설 것이다"

김홍두 제주특별자치도 스마트그리드 과장은 "현재 제주도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로 모든 전기를 생산하는 체계를 갖춘다면 연간 230만t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며 "이로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도시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며, 여기에 에너지자립 가능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제주도는 풍부한 바람자원이 있어 전국에서 풍력발전의 육성 속도가 가장 빠르고, 기술개발 또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현재 경관훼손과 난개발 등의 우려는 대책을 보완하며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기존 산림을 건들이지 않고 유휴지나 황무지 등에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할 수 있다"며 "만약 30㎿규모의 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된다면 연간 4만6000t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육상과 해상풍력발전산업을 육성시키는 동시에 태양광발전을 단지개발과 주택보급 형태로 확산시키고 있다"며 "바이오가스와 소수력발전, 해양에너지 등을 이용해 다양한 청정자원을 개발한다면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지역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한 김 과장은 "신재생에너지 육성산업에 이어 전기차 보급으로 이산화탄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 "현재 제주지역은 전기차 보급대수가 400여대로 전국의 20%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차량충전기도 900여기를 갖추는 등 월등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30년까지 전기차 37만대를 보급한다면 제주에서는 탄소배출량이 거의 제로화 되는 등 기후변화 대응 선도지역이 될 것이다"며 "제주도는 기후변화 대응대책을 산업화로 연결시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