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는 10월 중순을 시작으로 이듬해 2월 초까지 어장이 형성되며 도내의 주요어장으로는 마라도 연안과 과부탄(일명 홀어미섬) 서남쪽이 꼽힌다.
어군탐지기로 대규모의 방어떼를 쫓아 움직이며 낚시대를 드리우는 수십 대의 어선은 마치 전쟁영화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장관을 연출하기도 한다. 방어미끼로는 주로 살아 있는 자리를 사용하는데 일출 전에 미끼로 쓸 자리를 미리 잡은 후 본격적인 방어 잡이에 나선다.
방어와 부시리는 그 생김새가 비슷해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 웬만한 낚시인이 아니면 둘을 구별하기 힘들다. 몸 중앙을 가르는 노란색 가로띠의 짙고 옅음의 차이로 구별한다는 이들도 있지만 가장 손쉬운 구별법은 주둥이 안쪽에 있는 덮개끝이 둥글면 부시리이고, 직각이면 방어라고 생각하면 틀림없다.
일본에서 ‘부리’라고 부르는 방어는 제주연안의 경우 7㎏∼8㎏짜리가 많이 잡히며, 4㎏이상은 대방어라 해 그 미만의 것들과 차등을 둬 상품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방어잡이는 조금물때보다는 조류가 어느 정도 흐르는 사리를 전후한 때에 안정된 조과를 거둘 수 있다. 하지만 해마다 어부들의 풍성한 수입을 안겨 주던 방어 역시 다른 어종과 마찬가지로 고갈되어 가는 추세가 뚜fut해 어민과 낚시인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몇 해전에는 방어가 전혀 잡히지 않아 어부들이 스스로 온갖 폐그물과 주낙찌꺼기들을 건져 올려야만 했던 그 씁쓸한 예도 있다.
환경은 정직하다. 우리가 환경을 무시한 만큼 어족 자원 역시 점점 고갈되어 간다는 점을 명심했으면 한다.
또 한가지 안타까운 점은 늦가을부터 정월까지 살 속에 기름이 가득 차서 미식가들의 입맛을 돋우는 방어지만 요즘 사회 전반에 걸친 경기침체로 인해 그 소비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처음 열리는 이번 방어축제가 질 좋은 모슬포산 방어의 홍보를 극대화 해 소비를 촉진함은 물론 점점 열악해지는 바다환경을 제고하는 자리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임현호·해원 레포츠 필드테스터>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