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기로에 선 제주] 2부 블루오션으로 만들자 2.지구온난화 대비 산림확대

▲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산림생태계의 교란이 심각해지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산림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사진은 탄소저감을 위해 묘목을 심는 모습.
소나무·잣나무 등 온실가스 흡수 탄소 감축 기여
온난화 생태계 변화 속도 빨라…대응책 마련해야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산림생태계의 교란이 심각해지고, 이로 인해 고사목 증가로 탄소흡수량 또한 감소시키면서 '엎친데 덮친' 상황이다. 기후변화에 적응·대응할 수 있는 산림정책을 추진한다면 산림생태계를 보호하는 동시에 탄소흡수량을 증가시켜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승용차 3대 온실가스 흡수
 
축구장 넓이(0.68㏊)의 30년생 소나무 숲은 매년 중형 승용차 3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빨아들이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또 30년생 소나무 10그루는 서울에서 부산(1만5000㎞)까지 주행하는 자동차가 배출하는 양만큼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킨다.
 
산림청에 따르면 소나무, 잣나무, 상수리나무 등 우리나라 산림을 이루는 8개 주요 수종의 나무 나이에 따른 연간 단위면적당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1그루당 수량 등을 분석한 결과, 숲 1㏊ 당 매년 10.8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축구장 크기의 30년생 소나무 숲은 매년 1만5000㎞를 주행하는 승용차 3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셈이다.
 
또한 나무 17그루를 심으면 승용차 1대가 1년 동안 배출한 온실가스를 상쇄할 수 있다.
 
이처럼 30~40년생 소나무와 잣나무, 낙엽송, 참나무 등으로 이뤄진 대부분의 우리 숲은 탄소 감소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에 큰 몫을 하고 있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생장이 둔화된 숲은 탄소저감 기능이 줄어들기 때문에 '조림-숲가꾸기-벌채-조림'로 순환되는 산림정책을 펼치면 더 많은 양의 탄소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의 벌목현장.
제주산림 기후변화로 이중 위기
 
현재 제주도의 전체 산림면적은 8만8874㏊로 제주도 전체면적 18만4918㏊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의 산림은 연간 95만9839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다.
 
임상별로는 침엽수가 2만3341㏊, 활엽수 3만538㏊, 혼효림 1만1089㏊, 무입목지 2만3906㏊이며, 소나무림은 1만6284㏊로 산림면적의 18%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제주지역에서는 소나무 에이즈라 불리는 소나무재선충병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6381㏊에 54만5000그루의 고사목이 발생, 모두 전량 벌채됐다.
 
제주에서 벌채된 고사목이 저감시킬 수 있는 탄소량은 1년간 3만2058대의 자동차가 발생하는 온실가스량과 맞먹는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제주지역에 막대한 산림피해를 준 것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줄이면서 기후변화 대응에도 큰 타격을 입혔다.
 
특히 소나무재선충병은 2004년 제주에 처음 발병한 이후 매년 수십에서 수백그루씩 감염목이 발생했다. 하지만 제주지역은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 등으로 재선충병균과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으로 바뀌면서 지난해 들어 급속도로 확산됐다.
 
또한 제주지역의 기후가 온대에서 아열대로 전환되면서 소나무의 서식환경이 점차 악화, 질병면역력과 식생상태가 약해지면서 재선충병을 비롯한 각종 병해충에 쉽게 감염되고 있다.
 
지구온난화 대비 산림정책 필요
 
이처럼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로 제주의 산림생태계가 빠르게 교란되면서 산림정책 또한 이에 맞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산림정책은 지구온난화 등으로 바뀌는 생태계에 맞춰 대체수종을 찾아 조림함으로써 제주산림과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여기에 제주지역의 산림 건강성을 지키면서 산림면적을 넓혀나간다면 탄소흡수량 증가로 이어져 결국 기후변화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기후변화에 적합한 산림을 조성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도심과 가정에도 나무를 심을 수 있는 분위기도 확산시켜야 한다.
 
도는 우선 재선충병으로 황폐화된 소나무숲을 생태복원시키거나 기후변화에 적합한 신규수종으로 인공조림을 해야 한다. 재선충병 피해규모와 입지여건을 감안해 기존 감염목 발생에도 불구 소나무숲의 생태계가 유지할 수 있다고 분석되면 자연생태 복원을 통해 천연갱신토록 해야 한다.
 
하지만 더 이상 소나무숲으로 회생할 수 없는 지역은 풍토에 적합한 특히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수종으로 인공갱신사업이 필요하다.
 
이에 제주도는 해안지역의 경우 돈나무, 우묵사스레피, 동백, 후박나무 등을 조림수종으로 선택했다. 또 평지지역은 녹나무, 후박, 생달, 느티, 헛개 등의 나무를 심을 예정이다. 중산간지역은 가시나무류, 편백, 황칠, 상수리, 고로쇠 나무 등으로 인공조림이 이뤄진다.
 
또한 제주의 도심지역과 일반 가정에도 녹화공간이 늘어날 수 있도록 나무심기 및 녹지가꾸기 운동을 확산시켜 기후변화 대응을 생활화토록 해야 한다. 김용현 기자

"제주산림정책은 우선 공익적 목적을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숲을 조성하는 동시에 새로운 병해충 방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

김창조 제주특별자치도 산림휴양정책과장(사진)은 "숲과 식물생태계에 있어 기후변화는 천천히 변하고 있고, 앞으로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며 "하지만 제주기후가 아열대로 변하면서 2070년대 제주소나무가 멸종할 것이라는 시나리오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기후변화를 비롯해 여러 이유로 인해 지난해 소나무재선충병이 제주에서 확산되면서 제주산림생태계가 크게 위협을 받고 있다"며 "현재 벌채지역을 다시 건강한 숲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과장은 "제주의 소나무는 현재까지 포기하거나 섣부르게 다른 수종으로 대체하는 것은 금물이다. 회생이 가능한 지역은 최대한 자연복원토록 해야 한다"며 "반대의 경우 인공조림은 불가피하며 기후변화 등에 적합한 수종을 찾아 식재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또 "대체수종은 경제수종으로 숲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산림환경보호와 탄소저감 이라는 공공가치를 우선순위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