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어전설]<21> 평대 부대각
![]() | ||
| 평대리 해안가 부대각비. | ||
날이 가고 이 찬, 아길 난 보난 쌍둥인디 어떵사 큰지 보는 사름마다 놀래여 자빠져십주. 쌍둥인 벵 읏이 물락물락 컨, 열 이 뒈난 벌써라 등치가 열일고 난 청년만이 여실 뿐만 아니라 힘이 장사고 머리가 역역연 나를 들으문 열을 알아들어서마씀. 경디 두갓은 꼼 걱정이 뒈여십주. 어른덜이 는 말을 들으난, 힘 씨고 머리 좋앙 영웅이 뒈문 꼼만 잘못여도 역적으로 몰앙 삼족이 멜뎅 는 거라마씀.
를은 두갓이 아이덜이 무신 행동을 염신지 보젠, 좋은 옷으로 아입언 ‘실 강 오크메 집 잘 봠시라.’ 여둰 울담 튀연 들어완 곱아둠서 아이덜 거동을 펴십주. 아이덜은 어멍아방 어디 가부난 음 놘 재주 부리멍 놀아서마씀. 옷을 활활 벗어둰 가심에 멩지 푼 걸 보난 껭이에 개가 돋아서마씀. 아이덜은 개를 페완 번 파닥파닥 여 봔게, 참 동안을 아뎅기멍 재주를 부리단 바탕 놀아지난, 갤 다시 가심더레 안 멩지로 묶언 옷 입언, 아명치도 아니게 앚안 글 읽는 거라마씀.
곱아둠서 그걸 두 눈으로 똑똑이 본 두갓은 걱정이 태산이라십주. 엿날부터 개가 돋은 아이덜이 신 중 알문, 관가에서 그냥 놔두지 아니영 후환을 미릿에 읏이젱 다 죽여부는 걸 잘 알기 따문입주. 두갓은 메칠 동안 의논 끗데 아이덜 개를 라불기로 여서마씀.
경연 쌍둥이 생일이 뒈는 날은 맛 좋은 걸 하영 련 술장 준비여십주. 뭣 모른 아이덜은 이거 무신 일인곤 연 배 두드리멍 먹어서마씀. 얼매 엇이난 둘은 술에 취연 짚이 들어십주. 아방이 실게 칼을 져단 족은아 옷을 베껸 개를 탁 찍어서마씀. 족은아이 아판 ‘아이고!’ 소리를 질르멍 파드득게 난, 큰아이 그 소리예 깨여난 봔 개 르젱 염시난 뿌리쳔 아가불고, 족은아은 아판 하영 지 못연 마당에 탁 털어졋뎅 여마씀.
그런 일이 신 후제 큰아은 영영 돌아오지 아니고, 족은아은 점점 심이 씨여져서 주벤에 당 사름이 아무도 엇어십주. 경 다음부턴 힘씬 사름을 보문 ‘부대각 손’이옝 아서마씀. 실지로 평대예 살앗던 부대각이옝 는 사름은 을에서 3㎞ 떨어진디 묘가 싯고, ‘도깨동산’에 비석이 세와져신디, 그디 보문 본멩이 부시흥(夫時興)으로 나와서마씀.
조선 인조 4년(1626년)에 어모장군(禦侮將軍) 베실 지낸 아버지 부경필(夫景弼)광 어머니 김해김씨 슬하에 장남으로 태어난, 그 혈통을 받안 힘이 장사난 벨멩으로 부대각이옝 겁주. 일찍이 무과에 급제연 숙종 4년(1678년)엔 베슬이 겸사복장에 올랏고, 훗날 조정에서 통정대부로 추증뒈엿젱 여마씀. 경디 당시 제주목산 그의 6대조인 어모장군 부유겸(夫有兼)의 묘가 성산읍 오조리 식산봉 정상에 신 장군석이 정면으로 비추난 후세 보기 드문 대장군이 태어난뎅 는 설을 믿언, 군사를 보내연 그 장군석을 깨여불고 사름덜이 웃주는 부대각을 제거여불젠 기회를 노려십주.
결국 부대각이 서울서 관직을 그만둬둰 ‘명월만호’직을 제수 받안 려왐젱 는 정보를 입수 제주목사는 부대각이 베 탄 제주로 올 때 사름시켠 몰르게 라앚게 연 죽여부럿젱 여마씀. 경여부난 칙서를 인 종자(從者)의 베가 몬저 완 부대각이 오기를 지드렷주마는 끗내 행방이 묘연여부난, 훗날 그 집안에선 애석 연광 그 위적을 기련 평대리 해벤 ‘베드린개’옝 디 비를 세완 추모엿젠 여마씀.
지끔은 중동 해안가 ‘도깨동산’에 웬견 새로 세와신디, 그런 연이 새겨젼 이서마씀.
김창집 소설가·제주작가회의 자문위원
물락물락 : ‘좀 지나치거나, 힘이 많이 들어가거나, 견디기가 어려울 정도’의 상태가 되풀이됨을 이르는 말
삼족(三族) : 부계, 모계, 처계의 세 족속을 아울러 이르는 말
껭이 : 겨드랑이
실다 : 칼이나 낫 또는 연장의 날이 잘 들게 날이 서다
웃주다 : 높이다, 높여 대접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