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도시개발사업(옛 구획정리사업)이 추진단계에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제주시에 따르면 이도2지구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구남동 일대 도시계획도로를 놓고 시와 주민들이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도2지구 주민들은 구남동 도시계획도로를 격자형으로 해달라고 요구하는 반면, 시에서는 건축물 철거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도로를 최대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구남동 일대에 잇따른 건축행위로 주택이 밀집돼 격자형 도로를 만드는데 문제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주민들 의견대로 격자형 도로를 만들게 되면 416동의 건물 가운데 절반에 달하는 200여동을 철거해야 하며, 더구나 이는 보상비 증가로 이어져 감보율도 높아지게 되고 사업추진도 어려워진다는 설명이다.

이와함께 노형2지구도 5∼6년이후에 있을 도시개발이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시는 애초 이 일대를 택지개발지구로 지정했다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쳐 지난 6월 지구지정을 해제했다. 주민들은 대신 환지방식의 도시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일대 역시 해제이후 건축행위가 계속 이뤄지고 있어 이도2지구처럼 건축행위가 대부분 이뤄진 상태에서 개발을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개발예정지에 대한 도로망은 개발계획이 이뤄지는 시점에서 나오기 때문에 해당지역에 대한 건축행위를 제어할 수 없는 실정이다”며 “건축물이 다 들어선 상태에서 주민들 요구대로 도로를 직선으로 하게 되면 감보율만 높아져 사업추진이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