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말에 대한 이해]대립되는 씨끝들의 쓰임(1)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금년에는 제주말의 짜임을 표준어와 견주어서 이 둘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주말도 표준어와 같이 씨끝바꿈/어미활용을 합니다. 그러나 내용으로는 크게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준어와 같은 꼴의 씨끝이라도 뜻이 다를 수도 있고, 표준어에는 없는 뜻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먼저 살펴볼 것은, 첫째로 물음과 대답에 쓰이는 마침법씨끝/종결어미가 어떻게 다른지를 보면서 제주말과 표준어의 물음과 대답의 짜임의 차이를 볼 것이고, 둘째는 마침법씨끝들 가운데는 ‘-느-’가 들어간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데 이들이 어떻게 대립되면서 쓰이는지와, 셋째는 글쓴이/필자가 늘 주장하는 때소와 마침법씨끝들이 호응하면서 쓰이는데 왜 그것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는지를 보겠습니다.

글쓴이는 제주말에서 ‘잇/이시-’를 기준풀이씨로 봅니다. 여기에서 일어나는 문법 현상을 통해서 그림씨나 움직씨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그대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표준어

제주말

때소

씨가름

물음

대답

물음

대답

있느냐

 

잇느냐

잇나/싯나

-ㅇ

움직씨

 

있다

이시냐

잇저

-ㄴ

그림씨

위 표를 잘 보면 물음과 대답이 표준어와 제주말의 짜임이 다릅니다. 빈칸은 표준어는 둘, 제주말엔 없고, 때소는 제주말에만 있고, ‘잇/이시-’는 둘 다 움직씨로도 그림씨로도 중립입니다.

송상조 문학박사·㈔제주어보전회고문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