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쌀쌀해지면서 가정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겨울보온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보온과 세련된 디자인을 강조하는 새시는 일반가정에서도 관심을 둬야 한다.

집 안팎을 둘러보고 간단히 할 수 있는 수리와 보수를 해두어야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기 때문.

일단 알루미늄으로 된 새시는 플라스틱 새시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새시공사를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방음, 단열의 효과가 판가름난다.

요즘 창틀은 과거 새시와 달리 통째로 만들어져 나온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새시를 보면 바깥부분과 안쪽이 하나로 만들어져 새시 사이의 틈이 없다. 또 플라스틱 조립·용접 창호재들은 시공이 간편하며 어떤 형태와 규격에도 제작이 가능하다. PVC소재가 갖는 탁월한 보온효과로 난방비 절감을 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개별 가정에 설치하는 새시는 확실한 단열효과와 방음효과가 우선이다. 최신품들은 열전도율이 낮은 PVC소재에 특수기밀제를 사용하여 창문틈새로 새는 공기량을 극소화시킨다. 그러나 교체가 어려울 경우 외부의 찬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곳에 헌옷가지나 신문, 스티로폼 등을 가득 채워주고 창 주변을 테이프로 봉해주는 것도 방법이다.

또 외풍을 막아 열 효율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벽, 창, 마루틈새 등을 통해 열이 발산돼 나가는 것을 방지해야 하고 밖의 찬공기와 방안의 따뜻한 공기가 뒤섞이는 것을 막아야 한다. 가능하면 창문의 커튼을 천장부터 방바닥까지 길게 늘이고 많이 사용하지 않는 창문은 투명한 비닐로 막아주는 게 좋다. 창틀과 벽면 사이에 약간 금이 간 것은 충전재를 써서 틈을 메워주면 되고 심하게 갈라진 것은 충전재를 채운 다음 방수재를 2∼3회 발라 보수해야 한다.

(주)샤인샤시 제주대리점 진영도 대표는 “겨울철 난방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완벽한 밀폐효과로 수밀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새시를 사용해야 한다”면서 “온도변화에도 늘거나 줄지 않으며 뒤틀림이나 변형이 없어야 좋은 제품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