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어 전설] <35> 시흥리 현씨 남매
![]() | ||
| 말미오름에서 본 시흥리. | ||
현씨는 꼼 심이 엇어나신고라 식을 나문 심이 씬 식을 나사 켄 늘 생각여서마씀. 경단 어느 해 각시가 아기를 베난, 심 씬 아읠 날 욕심으로 계속영 쉐를 열 리나 잡아 멕여십주. 그치록 영 아을 나보젠 믿고두고 열 리 썩이나 잡아멕인 건디, 난 걸 보난 이라마씀. 현씨는 ‘아차!’ 여십주게. 주마는 쉐궤기 멕인 기운이 그레 가신고라 그 아의 심은 이만저만 것이 아니여십주.
얼메 엇언 다음에 또 각시가 아기를 베여서마씀. 현씨는 또시 쉐를 잡아 멕이기 시작여십주. 경연 아홉 리째 잡아멕연 생각을 여보난, 혹시 또 을 나문 어떵코 는 생각이 들어마씀. 에에, 경문 리라도 아껴사 켕 연, 이번엔 아홉 리만 잡아 멕연 중단여십주. 경디 난 걸 보난 이번엔 아이라마씀. 현씨는 ‘어불쌍!’ 여십주. 주마는 아홉 리 먹은 아도 심이 이만저만이 아니라마씀.
당시 대섬머세에 사는 사름덜은 이제 시흥리 입구에 이신 ‘큰물’이옝 세미 물을 질어당 먹을 땝주. 현씨 도 놈광 이 허벅으로 그 물을 져 날라사 여서마씀. 오름 으로 난 물질은 꼬불꼬불 좁고 험여십주. 어느 저실, 설한풍이 몰아치는디, 현씨 이 허벅에 물을 젼 눈발을 헤치멍 그 질을 올르단 보난, 사슴 리가 려오단 탁 마주치는 거라마씀.
그때는 인가가 하지 아닌 때난, 한라산에 눈 하영 묻어불문 사슴덜이 눈을 피영 먹을 걸 아보젠 해벤더레 려올 때라십주. 사슴은 사름을 보난 화르륵 돌안 도망치젱 여서마씀. 현씨 은 물허벅 진 차 활락게 튀연 내안게, 아나는 사슴을 앞질렁 간 두 뿔을 심언 홱 돌리난, 사슴이 벌렁 나자빠지는 거라. 경연 사슴을 심언 뚜러메연 집의 들어가난 현씨도 과연 의 심에 놀랏젱 여마씀.
그 시에 구좌멘 김녕에서 씨름판이 벌어진뎅 는 소문이 퍼져십주. 현씨는 이 기회에 아광 중 누게가 심이 씬지 심벡게 젱 여십주. 경연 아을 씨름판으로 보내여 둰, 신디 남장(男裝)을 시켠 쪼차가 보렝 여서마씀.
씨름판엔 현씨 아을 이기는 사름이 엇어십주. 완전 도판는 거라마씀. 현씨 아은 기세등등연 판을 휘둘러 가난, 이디저디 수군수군기 시작여십주. 결국 군중덜이 ‘와아!’멍 일어산 거라마씀. 정의(旌義) 놈이 목안(牧內)에 왕 도판암젠 ‘이놈 발모둠치기 여불켕’ 여십주.
바로 그 때 남장 누님이 탁 나산,
“보자 니 훙알진 것이 놈의 을에 와그네 도판젱 는 걸 보멍 도저히 그냥은 못 보겟다. 나고 번 붙어보자.”
난 누님인 중 몰른 현씨 아은 하가수이 네견, 려들언 내싸내싸엿주마는 아멩여도 아홉 리 먹은 동생이 열 리 먹은 누님을 이길 순 엇어십주. 둘러단 모살 우터레 확 내부쪄 둰, 누님이 군중신더레 아서마씀.
“난 저 목안 서촌에 사는 사름인디, 정읫놈이 오란 도판을 난 목안 사름으로서 궤씸기 짝이 엇언 번 붙어보난 하찮은 놈이로고마는. 두어 번 마당질 여시난 안창이 을여실 거우다. 정다시라실 거난 불쌍연 기냥 내 붑주.”
그제사 김녕 사름덜의 울분이 아앚앗고, 누님의 지혜로 동생의 위기를 구여 줫젱 여마씀. 을 일름이 시흥리로 바꾸기 전엔 이런 힘 씬 사름덜이 하영 살앗젱 연 ‘심돌’이옝 불러난 상이라마씀. (「제주도전설지」)
김창집 소설가·제주작가회의 자문위원
심돌 : 성산읍 시흥리의 옛 이름
고단 : 일정 지역을 가리키는 말
두가시 : 남편과 아내. 부부
심 : 힘
어불쌍 : 잘못된 일이나 언짢은 일을 알게 된 때에 뉘우쳐 탄식하는 소리. 아뿔싸
심벡다 : 실력이나 힘을 힘껏 겨루다.
도판다 : 놀이나 놀음판의 모든 것을 독차지하다
훙알지다 : 보잘 것 없다
하가수이 : 하찮게, 가소롭게
내싸내싸다 : 서로가 있는 힘을 다해 다투면서 이리 밀치고 저리 밀치고 하다
안창 : 오장육부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깊은 속에 있는 내장
을다 : 울릴 정도로 엄청나게 아프다
정다실다 : 어떤 일을 하려다 낭패를 크게 봤거나 욕을 톡톡히 당해 다시는 그 일을 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 혼이 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