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미의 청소년 인문학 콘서트 35. 조지 오웰 「동물농장」

권력암투로 깨진 평등·평화
동물 의인화 빗댄 시대 비판
판문점에서 진행된 남북 고위급 협상이 43시간의 마라톤 회의 끝에 극적으로 타결됐다고 한다. 늦여름에 한반도에 불어닥친 살벌한 기운이 잠시 하강세를 보이는 듯 하다. 합의문에는 지뢰 사고에 대한 북한의 '유감 표명'과 남한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결정이 포함됐다고 하는데, 부디 아무런 일이 나지 말아서 오래도록 평화가 유지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시?공간을 막론하고 두 갈래로 갈라진 체제와 이념은 하나로 합의되는 게 그리 쉬운 일은 아닌가 보다.
러시아 혁명 이후 스탈린 체제 배경
조지 오웰인 쓴 「동물농장」은 전체주의 이데올로기가 갖는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는 작품이다. 은유와 풍자로 이루어진 소설인데, 1945년에 씌여졌다. 우리나라가 해방되던 해에 씌여졌는데, 지금 읽어도 결코 낯설지 않다. 오히려 작품 속에서 실명을 거론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떠오르거나 적용해볼 수 있는 나라, 인물들이 떠오른다. 마치 세계사 공부를 문학작품으로 하는 듯한 기분이라고나 할까. 시대와 역사, 이데올로기 문제를 꿰뚫어 본 작가의 혜안이 놀랍기만 하다.
소설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자면, 스탈린이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성공시키고, 그 이후 레닌이 집권하면서의 변화해가는 전체주의의 맹점을 다루고 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에서는 새로운 체제가 건설되는데, 노동게급이 주인이 되는 세상, 인간평등과 평화를 주창하던 구호는 어느 새 사라지고 권력을 둘러싼 암투가 벌어진다. 이 작품은 표면적으로는 스탈린 체제에 대한 비판하는 것처럼 읽힐 수 있으나 어느 시대이건 어느 체제이건 전체주의적 속성을 지닌 권력은 용인할 수 없다는 것을 비판하고 있는 작품이다.
■ 동물농장 칠계명
1.두 다리로 걷는 자는 누구든지 적이다.
2.네 다리로 걷거나 날개를 가진 자는 모두 우리의 친구다.
3.어떤 동물도 옷을 입어서는 안된다.
4.어떤 동물도 침대에서 자서는 안된다.
5.어떤 동물도 술을 마셔서는 안된다.
6.어떤 동물도 다른 동물을 죽여서는 안된다.
7.모든 동물은 평등하다.
스스로 농장 경영하는 동물들
어느 장원농장에서 평소에 소홀한 대우를 받고 있던 가축들이 수퇘지 메이저 영감의 호소에 힘입어 반란을 일으킨다. 농장주 존스와 관리인들을 내쫓고 동물들 스스로가 농장을 경영하게 되는데, 그 중 비교적 지능이 뛰어난, <나폴레옹>, <스노우 볼>, 그리고 <스퀼러>의 지도와 계획 아래 평등한 동물공화국 건설을 위해 열심히 일을 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풍차 건설을 계기로 주동인물들 간의 권력투쟁의 노출된다. 결국 이상주의자 <스노우 볼>은 나폴레옹에 의해 추출되고, 나폴레옹은 간교한 <스퀼러>를 대변자로 내세워 동물들을 설득하고 조작하며 개 아홉 마리를 앞장세워 공포분위기를 조성한다. 그때부터 농장운영방침도 바꾸어 중의를 모으는 일요회의도 폐지하고, 모든 일을 나폴레옹과 그 측근들에 의해 임의로 결정하고 풍차 건설을 빙자해서 동물들의 자유를 허물어뜨리게 된다. 그리고 <존스>가 다시 쳐들어온다는 공포분위기를 조성하면서, 동물들의 내적 불만을 외적공포분위기로 제압하게 되는데, 이 돼지들은 불평하거나 항의하는 동물들을 첩자로 몰아 숙청하기도 하고, 옛날처럼 작업량을 늘리고 식량배급을 줄이기도 한다.
반면, 나폴레옹을 둘러싼 지배계급층은 <존스>시대의 인간보다 더 사치스러운 생활 속에서 호의호식하는 생활을 하는데... . 그들은 <존스>가 살던 집으로 모려들어 호의호식 배를 불리기 시작한다. 심지어는 자신들의 적이었던 인간들과 상거래를 트면서 자본의 맛을 들이기 시작한다. 이른바 저들이 만들어놓은 <칠계명>에 대해 철저하게 반대쪽 범행을 저지르기 시작하는 것이다. 돼지들이 살이 쩌 가는 것에 비례해서 다른 동물들은 몰골이 드러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
| 권력 폐단·우매한 민중·언론 등 오늘날 시사
|

이윽고 사회주의자가 되어 에스파냐 내전에서는 트로츠키 계열의 POUM(마르크스주의 통일노동당) 부대에 가담해 싸우다가 목에 총알이 관통하는 부상을 입었다.
또한 소련의 후원을 받은 공산당이 다른 당파에 대해 심한 탄압을 가하는 것을 직접 목격한 뒤로 평생 동안 반공산주의자, 반전체주의자가 되었다. 『동물농장』(1944)각주[1] 에 이어서 발표한 또 하나의 반전체주의 미래 소설 『1984년』(1949)이 있는데, 그는 이 소설을 쓴 이듬해인 1950년에 결핵으로 사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