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비시설 없는 친환경 메카<10> 에필로그

소각장 반입량 감소 최우선 과제
청주권 광역소각장 등 선진사례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도입 필요

소각열 자원화로 수익창출 주목
녹지공간·편익시설로 갈등 해소

제주시 봉개동 쓰레기 매립장 포화시기가 임박함에 따라 제주도가 구좌읍 동복리 지역에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매립장 반입량 최소화 방안이 최대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 배출량이 증가하는 상황을 개선하지 못한다면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도 그리 오래가지 못할 것으로 관측되면서다. 다른 지역 선진폐기물 처리시설의 장점을 도입, 제주형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친환경적인 공원 조성과 주민편익시설 운영으로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매립장 조기포화 해소 급선무

제주도는 오는 2018년까지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지역에 2034억원을 투입,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1일 500t의 가연성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과 460만㎥의 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게 된다. 

하지만 도내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량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제주도가 연도별로 집계한 도내 1일 생활폐기물량은 2010년 638.8t에서 2011년 764.7t, 2012년 861.9t, 2013년 984.2t, 2014년 976.2t, 2015년 1159.7t으로 급증했다. 

이에 비해 생활폐기물 재활용률은 절반을 조금 넘기는 수준이어서 장기적으로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소각시설 과부하와 매립시설 조기포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때문에 가정과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 발생량 감축이 절실하며, 소각시설 기능 강화방안도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청주권 광역소각시설도 2009년 생활폐기물 1일 200t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었으나 2015년 소각처리능력이 1일 400t으로 증설됐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광역매립장 반입물량이 하루 123t으로, 2014년과 2015년 상반기 147t과 132t에 비해 줄어들게 됐다. 

구미시 환경자원화시설도 소각시설 기능을 대폭 강화해 매립장 반입량을 줄여나가고 있다. 1일 평균 매립장 반립물량은 22t에 불과하며, 생활폐기물이 소각된 이후 남은 소각재와 소규모 공사장에서 나온 건축폐기물 등이 전부다. 

또 이 시설은 음식물을 반입하지 않기 때문에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음식폐기물은 구미시 하수종말처리장내 남은 음식물 사료화시설에서 처리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경우 읍·면지역 음식폐기물과 가연성폐기물을 혼합해 배출하면서 악취가 발생하고 소각시설 기능 저하 문제로 이어지는 만큼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친환경적인 시설운영 절실

폐기물처리시설 효율적 운영과 함께 소각열 자원화와 친환경적인 시설 운영도 과제다. 

대구시는 1982년 대구환경자원사업소를 조성한 이후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해 활용하는 매립가스(LFG) 자원화 사업을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04년 12월 한국지역난방공사 대구지사와 매립가스 수급 협약서를 체결, 매립가스 판매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게 됐다. 

매립가스 판매수입은 2013년 71억5000만원, 2014년 74억5600만원, 2015년 70억5700만원을 기록했으며, 이중 매년 5억여원이 대구시 수입으로 잡히고 있다. 

대구환경자원사업소 주변 32만㎡ 부지에 조성된 잔디광장과 테마숲, 산책로 등 녹지공간과 축구장,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파크골프장 등 체육시설도 주목받고 있다. 

또 다목적체육관과 문화강좌실, 헬스장, 댄스·요가실, 탁구장, 카페테리아, 유아놀이방 등 주민편익시설도 인기를 끌고 있어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전주권 소각자원센터 인접 '패밀리랜드'도 연간 21만3000명이 이용하고, 입장료 수입이 지난해 7억5600만원을 기록한 만큼 운영방식을 검토해 장점을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 시설은 지난 2010년 7월부터 주민협의체가 위탁 운영하고 있다. 위탁협약에 따라 시설 운영에 소요되는 경비는 주민협의체가 부담하고 있으며, 위탁시설 보수비로 연간 총 수입금액의 100분의 5 이상을 적립하고 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조성사업 역시 편익시설 운영을 통해 주민 일자리와 수익 창출 효과를 거두면서 행정과 주민간 갈등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경필·한권·고경호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