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대중교통체계 어떻게 바뀌나

2021년 이용객 1억명 목표
도 전역 '시내버스화' 추진
공기업 전환·우선차로제 도입
재정 부담·손실 최소 등 과제
제주도내 자동차 등록대수가 급증하면서 교통체증과 주차난이 극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대중교통체계 개편안을 마련해 올해 8월부터 시행키로 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도 전역 시내버스화를 비롯해 급행버스 신설, 요금 인하, 환승센터 조성, 대중교통 우선차로제 등으로 이용 불편이 크게 해소될 전망이다. 다만 버스 준공영제 시행 등으로 재정부담이 가중될 수 있어 대비책이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이동시간 단축·요금 부담 경감
제주도에 따르면 2015년 시내·외버스 이용객은 5638만명으로 2005년 3200만명보다 증가했다.
하지만 최대치를 기록했던 1995년 7670만명에는 크게 못 미치고 있으며, 교통분담률도 낮아지는 추세다. 대중교통 이용 불편 등으로 자가용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해말 도 전역 시내버스화 등을 담은 대중교통체계 개편안을 확정하고 올해 8월부터 본격 추진키로 했다.
제주관문인 제주공항을 기점으로 도 전역을 1시간 이내로 통행할 수 있는 급행버스가 신설된다. 11개 노선에 버스 94대를 투입하게 되며, 평균 배차간격은 20~50분이다. 급행버스 요금은 20㎞ 기준 2000원이 기본이며, 5㎞당 추가 요금 500원을 부과하되, 4000원 이하로 제한된다.
특히 읍·면지역을 포함한 도 전역 시내버스화가 시행된다.
간·지선버스 요금이 1200원으로 변경되고, 읍·면지역에서도 무료 환승이 가능해지면서 이용자들의 요금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도심 교통 혼잡구간 버스 이동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대중교통 우선차로제도 도입된다. 동서광로와 연삼로, 중앙로, 공항로 등에 우선차로제를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간·지선 노선을 644개에서 134개로 줄이고, 제주공항과 서귀포터미널, 동광육거리(서부), 구좌읍 대천동(동부) 등 4곳에 환승센터를 설치하며, 읍·면 20곳에 환승정류장을 조성해 이동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동·서부 환승센터 기종점에는 관광지 순환형 버스도 투입될 예정이다. 동·서부지역 각각 1개 노선에 버스 8대가 투입되며, 배차간격은 30분이다.
△공기업 전환·준공영제 시행
도 전역 시내버스화 및 노선 재정비 등을 위해 대중교통 운영체계도 개편한다. 도민과 관광객들의 대중교통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버스운행 대수를 507대에서 765대로 증차한다.
그러면서 제주시와 서귀포시 공영버스를 통합, 공기업 체제로 전환하고 민영버스에 대해서는 표준운송원가를 적용해 준공영제를 시행키로 했다.
또 민영버스 운수종사자의 처우도 단계적으로 개선된다. 현재 평균 연봉이 3800만원이지만 개편 후 4000만원으로 인상되며, 5년 후에는 공영버스 운수종사자의 수준으로 오를 예정이다.
이밖에도 버스 색채와 디자인, 번호체계도 달라진다. 버스종류별로 급행은 빨강, 간선은 파랑, 지선은 녹색을 기본 바탕으로 했는데, 버스디자인은 서울과 동일하게 적용해 관광객들이 혼선을 겪지 않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대중교통체계 개편을 통해 2015년 5600만여명이던 대중교통 이용객을 2021년 1억명으로 늘려 대중교통 분담률을 현재 10.1%에서 1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지방재정 부담 해소 과제
대중교통체계 개편으로 버스 이용객 불편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지방재정 부담이 가중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도는 버스운영방식 가운데 민영과 공영방식을 혼합한 준공영제를 도입키로 했다.
다른 지자체들도 노선관리는 공공이 담당하되, 운영은 민간에 위탁하는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다. 버스 서비스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2004년 7월 준공영제를 시행한 서울시의 경우 연간 운송업체 지원금이 그해 468억원에서 2005년 2262억원으로 5배 가까이 급증했다.
또 2005년 7월 준공영제를 도입한 대전시 역시 연간 운송업체 지원금이 121억원에서 266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재정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을 맞게 됐다.
이에 따라 준공영제 시행으로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후속대책이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버스노선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는 준공영제 도입이 필요하고 재정적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면서 "버스 이용객이 증가한다면 재정 손실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