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으로 '행복지수' 높인다 7. 부산광역시

부산항 전경.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인 부산광역시는 광역시 단위 세계 최초로 국제안전도시로 공인을 받았다. 이후 국제안전도시 성공모델 정착과 안전한 도시 조성을 위해 민·관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인구 350만 대도시

부산광역시는 6·25 당시 피난민이 몰려 대규모 산동네 판자촌을 형성했다. 이후 재개발이 많이 됐지만 여전히 산등성이에 허름한 단독주택들이 많다. 골목도 유난히 많다. 

항구와 관광도시 특성상 끊임없이 외지인들이 많이 오고 간다. 태풍 등 자연재해도 반복된다. 게다가 전국에서 50층 이상 초고층 건물이 가장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그만큼 다양한 안전사고들이 발생한다. 부산시의 인구 10만명당 사망자수(손상사망률)는 서울과 6개 광역시 중 가장 높다.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1조1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처럼 안전문제가 화두로 부각되자 부산시는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부산시는 지난 2009년 지역사회 안전도 진단을 시작으로 2011년 인제대학교에 국제안전도시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국제안전도시 준비도시로 등재 이후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 이어 2012년 안전도시 추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안전도시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으며, 시를 비롯해 구·군, 유관기관 및 시민단체 등과 함께 시민안전 증진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등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했다. 

부산시는 2010년부터 교통, 학교, 가정·주거시설 안전, 자살예방, 관광·해양안전, 재난·산업안전, 기반구축 사업 등 7개 분야에 대해 171개 기관이 참여해 노인낙상과 자살예방, 보행 낙후지역 기초시설 개선 등 306개 안전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제7차 아시아안전도시 연차대회 성공적 개최 △안전증진 및 손상예방 프로그램 지속 운영(6개 분야 76개 과제) △국제안전도시 자치구 시범사업 추진 △국제안전 시범학교 지원 △안전도시협의회 운영 △안전도시사업 지원·협력기관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국제안전도시 선진화방안 학술용역 실시 △과학적인 손상감시체계 운영 등이다. 

부산시 손상사망자는 2009년 20만명당 63명에서 2011년 60.7명으로 줄었다. 분야별로 보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수가 10.8명에서 10명으로 줄었고 자살수는 32.1명에서 31.9명으로,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는 1명에서 0.6명으로 감소했다.

△안전도시협의회 지원사격

부산시의 이같은 노력과 성과는 2013년 9월 현지 실사단의 엄격한 서류심사와 현장 확인 등을 거쳐 12월 광역도시 단위에서는 세계 최초로 국제안전도시 공인 획득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부산시의 국제안전도시 인증은 그동안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공인을 받았던 것과 달리 인구 350만명의 광역시 단위로는 세계 최초로 인증을 받으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처럼 부산시가 광역시 세계 최초로 국제안전도시로 공인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시민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부산시 국제안전도시 공인사업 지원을 위한 창립한 안전도시협의회가 중심이다. 안전도시협의회는 부산시를 비롯해 24개 기관단체장이 참여하고 있다. 

사실 부산시는 2009년부터 약 3년간의 손상률 지표 개선 등의 준비기간을 거쳐 2012년도 공인을 목표로 국제안전도시 사업을 추진했었다. 그런데 인구 300만이 넘는 광역권 대도시의 공인사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연제구청과 사하구청이 우선 시범적으로 추진하고 이후 부산광역시에서 추진키로 하는 수정방안을 검토했다.

하지만 안전도시협의회의 강력한 추진의지와 설득으로 부산시는 광역시급으로 추진하는 것을 확정, 2013년 12월 열매를 맺게 됐다.

안전도시협의회는 부산시가 광역시 세계 최초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달성한 만큼 향후 부산시가 국제적으로 안전한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사업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감천문화마을.

△광역시급 사업모델 구축 노력

부산시는 2014년 중장기 안전 마스터플랜인 '국제안전도시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 2018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추가적으로 개발하고 안전도시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최초로 제정된 '부산시 안전한 도시 만들기 조례'와 대표적 범죄 취약지역인 폐·공가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부산시 빈집 정비 지원 조례'도 시행되고 있다.

부산시는 특히 광역시급 국제안전도시 모델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국제안전도시 안전기준이 광역시에 모든 것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2014년 국제안전도시 선진화방안 연구용역을 시행, 완료했다. 용역진은 공동체 기반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최근 개발된 ICT 기술을 적극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는 지역사회 안전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보다 쉽고 편리한 지표를 개발해 이를 지역사회에서 적용하고 읍면동 커뮤니티 단위에서 안전증진계획 수립에 반영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매우 복잡하고 불확실성이 커진 광역 도시 수준의 새로운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를 위해 예방중심의 안전관리체계가 상시적으로 운영하도록 요구했다.

세부적인 발전방향으로는 안전인식의 일상화, 안전시설 고도화, 안전프로그램 체계화, 재해 및 재난 관리시스템 효율화를 주문했다.

부산광역시 관계자는 "시민과 관련단체, 부산시 등 기관이 합심해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게 됐다"며 "앞으로 시민안전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고 안전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행복하고 안전한 부산을 만들고 제2차 공인 준비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또 "광역시 단위 첫 국제안전도시 인증으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데 성공했다"며 "도시 브랜드 향상과 해외기업 및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