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위기 경고등 켜진 제주경제 <5> 엎친데 덮친 소상공인

제주도내 소상공인들이 최저임금 급등과 상가임대료 상승, 대기업 시장 잠식 등으로 인해 벼랑끝 위기에 처해있다. 사진은 제주시 연동 상점가로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김용현 기자

편의점·슈퍼, 식당·커피점 등 인구대비 많아 생존경쟁 심해
최저임금에 상가임대료 상승 정부 지원책 현실에 맞지 않아

슈퍼마켓과 편의점 등의 도·소매점, 식당과 커피점 등의 음식점까지 제주경제 구성원 대부분은 소상공인들이다. 하지만 도내 소상공인들은 최저임금 급등과 상가임대료 상승, 대기업 시장 잠식 등으로 인해 벼랑끝 위기에 처해있다. 도내 소상공인은 제주경제의 풀뿌리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도민사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제주경제가 살려면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내 소상공인 2년 버티기도 어렵다

제주지역은 외부인구유입 증가와 도내 고용시장 위축 등으로 창업바람이 거셌다. 하지만 도내 창업업체 대다수는 음식점이나 편의점 등 소규모의 소상공인들이라 할 수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기업생멸 행정통계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경제활동을 시작한 신생 기업은 1만6050곳으로 전년 1만1994곳보다 33.8%(4056곳) 증가했다.

부동산 열풍에 힘입어 부동산·임대업체가 4945곳으로 가장 많았고, 숙박·음식점 4258곳, 도·소매 2886곳 등 순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치열해진 생존경쟁에 밀려 문을 닫은 소멸기업은 8216곳(2015년 기준)으로 신생 기업의 절반 수준이다.

소멸 기업 중 숙박·음식점이 2740곳으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2104곳), 부동산·임대(1247곳)가 뒤를 이었다. 

2013년 신생기업이 2015년까지 유지하는 2년 기준 생존율은 49.4%로 신생기업 절반이 2년을 버티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 조사에서도 도내 창업사업체 3년 생존율은 54.8%로 3년 이내에 절반에 가까운 업체가 폐업했고, 5년 생존율 역시 41.8%로 분석됐다. 

△출혈경쟁에 대기업에 시장잠식

제주지역 골목상권을 대표하는 도내 슈퍼마켓은 대형유통매장의 시장잠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나마 제주도수퍼마켓협동조합과 제주도의 노력으로 대기업형 슈퍼슈퍼마켓(SSM)의 제주진출은 막아내고 있지만 기업형 편의점이 도내에만 1000여개나 들어서는 등 골목상권을 침해하고 있다.

도내 편의점 역시 대기업 본사의 무분별한 출점으로 대부분 도민인 점주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결국 슈퍼마켓 대 편의점, 편의점 대 편의점 등 경쟁구도가 형성되면서 대기업이 수익을 챙기고 '을 대 을'간의 생존경쟁만 치열해지는 상황이다.  

제주도소상공인연합회에 따르면 2018년 현재 제주지역 편의점 수는 1030여곳으로 일년새 160여곳이 늘었다.

도수퍼마켓조합에 가입된 정조합·준조합 점포도 370여곳이다. 여기에 타 조합·단체 소속이나 개별적인 상점을 포함한다면 슈퍼마켓·편의점만 1500곳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올해 7월 기준 제주지역 음식점수는 1만7422개로 분석되고 있으며, 도내 업소 1곳당 15가구에 불과하다. 이는 서울의 업소당 36가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전국 17개 시도중 가장 적었다. 

또한 강원도(업소당 16가구)와 함께 전국에서 20가구에도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어서 경쟁이 심할 수밖에 없다.  

음식점 중에서도 창업바람이 불고 있는 커피점 역시 도내 1856곳으로 업소 1곳당 141가구에 불과, 17개 시도 중 가장 낮은 것은 물론 전국에서 유일하게 200가구를 밑돌았다.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 종합소매점 역시 2785곳으로 업소 한곳당 94가구로 서울 175가구보다 크게 적었고,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강원도(95가구)와 함께 전국서 100가구를 넘지 못했다. 

△최저임금·임대료 상승 악재만 잇따라

도내에서 소상공인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생존경쟁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최저임금 인상과 임대료 상승 등으로 인해 벼랑끝 위기로 치닫고 있다.

신애복 제주특별자치도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근로자 소득 향상을 위한 최저임금 인상은 바람직하지만 소규모 점포를 운영하는 업주들은 인건비 부담 등으로 경영난에 문을 닫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신 회장은 "제주도내 골목상권이 행정지원을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규모가 미미하다"며 "상점가 등록을 통해 정부 지원을 받아야 하지만 등록 기준이 까다로워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서귀포 지역 편의점 점주 A씨는 "편의점 운영비 중 인건비가 80% 정도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한다. 최저임금 인상은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치명타를 입게 된다"며 "서귀포 도심지도  최근 지가 상승 등으로 임대료도 크게 오르면서 편의점 운영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고 고충을 밝혔다.

올해 인상된 최저임금은 7530원으로, 심야시간대(오전 1∼6시)만 적용해 한달을 30일로 환산할 경우 인건비는 112만9500원이다. 인상 후 점주들이 15만9000원의 인건비를 더 부담하고 있지만 이 시간대 수익은 2만~3만원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내년 최저임금은 8350원으로 올해보다 10.9%나 인상돼 인건비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한국감정원이 분석한 지난해 4분기 기준 제주지역 임대가격지수는 중대형 상가는 전분기와 비교해 3개월 사이에 1.0%, 소규모 상가는 0.1%, 집합상가는 0.2% 상승했다. 

단위면적(㎡)당 평균 권리금 수준은 제주가 87만6000원으로, 서울과 안양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아 점포 임대부담도 큰 상황이다.

조순여 제주도 골목상권살리기추진팀장은 "최저임금 인상과 임대료 상승과 관련해서 상인연합회 및 소상공인연합회 등과의 간담회 진행, 애로사항 청취 등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제주뿐만 아닌 전국적인 현상으로 도는 재형저축, 지방채 감면, 융자제도 개선 등 지원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용현·고영진·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