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제주 만들기<7> 에필로그

서울·대구·전주 등 전국 자치단체 도시숲 조성 집중|
제주도 올해부터 2023년까지 500만 그루 심기 추진
정원사 양성·녹화공간 공모 등 민간 참여 확대 절실 

제주를 비롯해 전국 자치단체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저감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녹지공간 확충을 위한 도시숲 조성과 도로변 가로수 심기 등이 대표적이다. 공장과 자동차 등에서 배출하는 오염물질이 기후변화와 주민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정된 사업부지 등으로 녹지공간 확충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결국 주민들이 주택 등 건축물을 친환경적으로 개발하고 나무심기 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대기오염 대응 전국 공통과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방지는 전국 자치단체의 공동과제다. 

제주도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총사업비 881억2500만원을 투입해 500만 그루를 심는 '숲속의 제주 만들기' 사업을 계획해 추진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 열섬화 완화를 위해 도시숲과 명상숲, 녹지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도는 올해 상반기 55만 그루를 심는 등 올해 목표로 설정한 100만 그루 심기의 절반 이상을 달성했다. 

공공부문으로 도시숲 조성과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대체조림, 가로수 조성, 나무 나눠주기 등을 통해 30만 그루를 심었고, 민간부문으로 관광지 등에 25만4000여 그루를 심었다. 

도는 올해 하반기 번영로와 서귀포시 서부지역, 학교 등에서 녹색쌈지숲 및 명상숲 등을 조성키로 했다. 

서울시와 대구시, 전주시 등은 제주보다 일찍 도시숲 조성사업을 추진했다. 제주보다 대기오염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시내 자투리땅과 빈 공간에 숲과 정원을 조성하는 '천 개의 숲, 천 개의 정원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또 오는 2022년까지 30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2022-3000, 아낌없이 주는 나무심기 프로젝트'를 계획했다. 

전국에서 가장 더운 지역으로 꼽히는 대구시도 시민 생활권에 100개 도시숲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은 지난해부터 2022년까지 5년간 188.94㏊에 482억1800만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생활환경숲과 명상숲을 조성하는 방안이다. 

전주시 역시 열섬현상 등 기후변화와 대기질 악화에 대응하고자 1000만 그루 정원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지난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1150억원을 투입, 사회적 약자를 위한 나눔숲, 학교부지를 활용한 명상숲 등을 조성한다. 

김해시는 산업단지 밀집지역으로 지난 2017년부터 도심 평균 온도를 2도 낮추는 '쿨시티(Cool City)'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주민 생활권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미세먼지 차단숲' 등을 계획했다. 

△민간 주도 도시숲 조성 관건

전국 자치단체들은 도시숲 조성사업을 추진하면서 민간 참여에 공을 들이고 있다. 행정에서 추진할 수 있는 사업범위 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도시환경 개선과 도시숲 조성을 위한 상시적 협의체로 조경·산림·환경 등 분야별 전문가와 학회·협회,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 지난 1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 100명이 참여하는 나무심기 시민원탁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공감대를 형성해나가고 있다. 

또 녹지공간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무 심을 숨은 땅 찾기 공모'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전주시는 시민 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조례를 개정해 나무족보 제작, 도시녹화 지원 확대, 시민정원사 양성 등에 집중하고 있다. 

연간 전주시민 60명을 정원사로 양성하고 잊혀진 공간찾기 사업을 통해 정원 조성부지를 발굴하고 있다. 

이밖에도 시민참여 어울림 정원 조성, 사단법인 푸른전주운동본부가 주관하는 시민헌수운동 등도 진행되고 있다. 나무나 성금 등을 받아 기부자 이름을 새긴 상징물 또는 표찰 등을 설치하면서 시민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대구시도 사단법인 푸른대구가꾸기시민모임을 구성해 운영 중이며, 조경관리조례 시민 활동 지원규정을 근거로 시민의 숲 조성, 식목행사, 등산로 주변 나무심기 등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김해시는 미세먼지 피해저감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 미세먼지 신호등 설치와 미세먼지 예·경보 상황실 운영, 대응 매뉴얼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경유차 저감에도 집중하고 있다. 

제주도 역시 도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 발굴이 시급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끝>

취재팀=박훈석 편집상무·선임기자, 김경필 사회부장, 양경힉 사회부 기자, 이은지 정치부 기자

이창흡 제주특별자치도 산림휴양과장

"도민 건강을 위한 녹색환경 조성에 만전을 기해나가겠다"

이창흡 제주특별자치도 산림휴양과장은 "인구 증가 및 도시화로 열섬현상이 우려되며, 해외에서 바람을 타고 유입되는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과장은 "도에서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숲속의 제주 만들기 500만 그루 나무심기'를 추진한다"며 "매해 100만 그루씩 나무심기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는 도시숲, 명상숲, 도심 가로수 심기, 공익조림 등에 78억원을 투입한다"며 "나무 나눠주기를 통해 도민 참여 나무심기 운동도 추진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500만 그루 나무심기와 더불어 도심 주민생활공간의 체계적인 도시숲 조성 계획을 수립해 추진할 계획"이라며 "하천숲, 도시공원숲, 가로숲 등은 물론 양질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바람길숲 조성 등을 2020년부터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장은 "바람길숲은 대기 순환을 유도해 도시외곽의 맑은 공기를 끌어들이고 도시내부의 오염된 공기와 뜨거운 공기를 배출시켜 대기 중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숲"이라고 설명했다. 

숲속의 제주 만들기 추진상황과 관련해서는 "지난 6월말 현재 올해 100만 그루 나무심기 목표의 절반 이상인 55만 그루를 심어 가시적인 성과를 이뤘다"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도 주력해 미세먼 저감수종으로 적합한 도시주변 곰솔을 보존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 과장은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는 1913년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다"며 "앞으로 생활권내 도시숲과 녹색공간을 확대해 도민의 건강을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