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투자유치 공존과 성장 모델 찾는다 6. 제주형 투자유치 생태계 구축

숙박레저 등 관광산업에서 제주 강점 살리는 방향으로 다양화 필요
획기적인 규제완화 및 인센티브 개선 및 행정·제도적 기반 다져야
투자유치 컨트롤타워 구축 사전-모니터링-사후 관리 체계화 시급

제주는 우수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자연과학분야 인력도 상당히 갖추고 있다. 현재도 제주에서 IT·BT·CT기업 및 벤처기업과 협력의 상생의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은 첨단과학기술단지 전경.

제주특별자치도는 국내외 투자유치로 인해 경제성장의 기틀을 다졌고, 제주경제는 2010년 초중반에 급속도로 성장했다. 하지만 투자유치가 숙박과 레저 등 관광산업에 치중되면서 난개발 우려에 따른 부정적 도민의식 확산과 산업 불균형이란 부작용도 나타났다. 앞으로 투자유치 영역을 IT(정보산업)·BT(생명산업)·CT(문화산업)을 비롯해 4차산업까지 확대해야 한다. 여기에 투자유치 제도 혁신과 전담부서 설치 등 제주형 투자유치 생태계 구축해야 한다.

△제주 투자유치 다변화 필요

제주특별자치도의 투자유치 정책은 가시적은 성과를 거뒀지만 최근 한계에 접어들고 있다. 그동안 투자유치가 숙박레저단지 등 관광산업에 집중돼 도민사회 피로감이 쌓이면서 부정적인 인식이 퍼지고 있다.

제주도는 관광이외 다양한 산업으로 투자유치 영역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중단됐고, 첨단과학기술단지와 용암해수산업단지 등 현재 조성된 산업단지는 입주공간이 부족한 상황이다.

도내외 기업들이 도내 다른 사업부지를 확보하려 해도 최근 제주지역 지가상승률이 전국평균의 2배에 달할 정도로 급등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도가 앞으로 투자유치사업에서 '선택과 집중'해야 할 산업은 IT·BT·CT, 신재생에너지산업, 블록체인, 교육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제주는 우수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자연과학분야 인력도 상당히 갖추고 있다. 현재도 제주에서 IT·BT·CT산업 종사자들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신규 투자기업이 네오플·다음카카오 등 도내  IT·BT·CT기업 및 벤처기업과 협력의 상생의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제2첨단과학기술단지를 조성하고 있고, 헬스케어타운 부지와 옛 모뉴엘 청사 등을 활용한다면 새로운 투자단지도 확보할 수 있다.

제주도가 핵심프로젝트로 추진하고 있는 '2030 카본프리아일랜드' 사업을 연계해 풍력·태양광·전기차충전·에너지저장시스템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으로 투자유치 영역을 확대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제주도는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유치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제주국제자유도시 계획과 연계한 동북아 교육허브 추진, 영어교육도시 조성, 옛 탐라대학교 부지 등을 활용해 교육산업에 대한 투자유치 정책도 추진해야 한다.

△투자자 신뢰도 만족도 높여야

제주도가 기존에 투자한 기업·개인의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새로운 산업에 투자유치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제주형 투자유치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우선 제주 투자유치를 총괄할 컨트롤타워를 반드시 구축해야 한다. 제주도 투자유치가가 도내 전체 투자유치의 총괄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청 내부조직과 외부기관을 총망라한 협업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여기에 현지 잠재투자자를 발굴해 방문상담 및 투자유치활동 등을 공동으로 수행해야 한다.

제주도는 투자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사전서비스와 사후서비스를 통해 투자자들이 제주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유망한 투자기업이 제주진출을 망설이게 하는 여러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고, 모든 것을 한번에 해결해주는 '원-스톱'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최근 투자유치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고, 일본과 동남아 등 인접국가는 물론 부산과 인천 등 국내 대도시도 다양한 인센티브를 통해 투자유치에 나서고 있다. 

제주도 역시 맞춤형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투자자와 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지원수준을 결정하고, 공정성 확보를 위해 투자시 공헌도 등을 평가해 인센티브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여기에 제주에 투자를 계획하는 투자기업에 대한 사전관리 방안과 현재 투자진행중인 기업에 대한 모니터링, 투자가 완료된 기업에 대한 사후관리 등 투자관리시스템을 보다 체계화하고 강화해야 한다.

그밖에 첨단산업과 4차산업 등을 주도할 수 있는 인재유치를 위한 쾌적한 정주여건을 구축해야 한다. 또 도내 대학의 기능다변화를 통해 투자기업간 산학협력 활성화도 필요하다. <끝> 김용현 기자 

"제주도가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투자유치 정책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투자환경 개선도 이뤄져야 합니다"

강기춘 제주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제주도 투자유치 정책이 사전서비스와 사후서비스를 통해 투자자를 만족시키고, 도민사회 이익도 극대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강 교수는 "투자정책의 경우 일관성 없이 일단 '유치하고 나면 그만'이라는 방식으로 이뤄진다면 대외신뢰도를 잃고 투자절벽에 직면한다"며 "이제는 제주형 투자유치 생태계를 구축해 기존 투자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새로운 투자영역을 개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과 산업마다 요구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제주도는 각각의 맞춤형 투자유치 인센티브를 제공할 자세를 갖춰야 한다"며 "특히 제주도는 관광산업 이외 산업에서 투자유치의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제주도는 IT·BT·CT와 블록체인, 신재생에너지산업 등 관광산업 이외에 투자유치를 위한 고부가가치산업이 있다"며 "국내외 투자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과감한 규제완화와 인센티브 제공 등 투자유치정책의 혁신을 도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강 교수는 "현재 기준으로 보면 2000년대초 제주도의 투자유치 정책이 과도한 특혜라는 일각의 지적이 있지만 당시에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며 "현재 부작용도 있지만 긍정효과도 크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제주도 투자유치정책은 관광에서 첨단과 문화·교육산업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반드시 투자기업과 도민사회가 상호이득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투자유치에 있어 방향과 지침을 확실히 정하고 이에 맞춰 '사전-모니터링-사후관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