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기준 223명 중 100여명 참여…학교 24곳 예상
학생·학부모 피해 불가피…도교육청, '대응 매뉴얼' 배포
제주지역 초등학교 돌봄전담사들이 초등돌봄교실 지자체 이관 반대와 시간제 폐지 등을 요구하며 6일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도내 돌봄 공백 현실화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도교육청은 5일 도교육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 4일 기준 도내 전체 돌봄전담사 223명 중 1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특히 도내 돌봄 운영 학교 107곳 중 24곳에서 돌봄교실이 운영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돌봄전담사 223명이 맡고 있는 초등학생은 약 5000여명에 달하면서 절반 가까이 파업에 나설 경우 학생과 학부모 피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돌봄전담사 파업에 따른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파업 대응 매뉴얼'을 배포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방과 후 독서, 개인 과제 등을 할 수 있도록 교실이나 도서실 등 개방 △파업 미참여 전담사를 활용한 통합 운영 △학교관리자 참여를 통한 돌봄 지원 △학교 인근의 마을 돌봄 기관 정보 안내 등이다.
제주도교육청 관계자는 "파업에 참여하는 학교와 협력을 강화해 돌봄 공백 최소화에 주력하고 있다"며 "학생 및 학부모들의 불편이 없도록 다각적인 돌봄 운영 방안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지난 4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제주지부는 성명을 내고 "정부의 '온종일돌봄법'은 초등돌봄교실을 학교 밖으로 내쫓는 법안"이라며 "경험과 인프라, 재정 등이 갖춰지지 않은 지자체는 초등돌봄교실을 민간위탁으로 내맡길 가능성이 크고 이는 돌봄교실의 질을 떨어트릴 수밖에 없다"고 파업을 예고했다.
이어 "참여 대상이 확대된 초등돌봄 운영 개선 협의체에서 의견이 모이지 않으면 추가 파업도 있을 수 있다"며 "8시간 전일제 근무 전환과 처우개선 없이는 돌봄의 질 개선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양경익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