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된 정보 제공…의견수렴 의지 빈약 지적
조사대상 특성 파악 미비 등 설문취지 무색
제주도립미술관이 제주비엔날레 재추진을 목적으로 한 설문을 진행했다는 구설에 올랐다. 개최여부를 묻는 공청회를 대신한 작업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개최'를 전제로 설문 문항을 설계했다는 지적이 나오는데다 비엔날레의 사전 행사 성격을 가진 '프로젝트 제주'를 내년에 개최하겠다는 구상을 밝히는 등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논란을 사고 있다.
△표면적 결과 토대 '추진' 결론 우려
첫 논란은 도립미술관이 설문지에 표시한 제2회 행사 취소 관련 설명에서 비롯됐다.
예술감독과 의견 충돌 등 행사 취소에 큰 영향을 끼친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코로나19 확산과 예산 미반영으로 행사를 개최하지 못했다고 설명하는 등 반쪽 의견 수렴이라는 지적이다.
결국 제주비엔날레를 '모른다'고 답변한 도민 51.2%는 제주비엔날레를 코로나19 여파로 열지 못한 문화행사 정도로 인지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문화예술계 안팎에서는 "이런 표면적인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간담회나 자문위원회를 열겠다는 생각 자체가 섣부른 것 아니냐"며 "도민 혈세를 투입하면서도 도민들을 이해당사자로 취급하지 않을 거면 무슨 목적으로 시행한 설문이냐"고 지적했다.
또 "공청회의 경우 온라인 화상회의와 실시간 댓글 등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수 있을 텐데 어째서 고려하지 않은 건지 모르겠다"며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내용 없이 단순히 개최여부를 묻는 것으로 도민의견을 수렴했다고는 할 수 없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답변유도 설계 의혹…설문취지 무색
이번 조사에서 제주비엔날레 재추진에 대한 찬반 의견과 더불어 제주 지역 작가 중심의 '제주형 미술행사'로 비엔날레를 대체하는 안을 물은 것 역시 입방아에 올랐다.
제주비엔날레 재추진 찬반(도민 81% 찬성)을 물은 이후 다시 제주형 미술행사로 비엔날레를 대체(도민 79.2% 찬성)하는 방안을 질문하는 등 원하는 결과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샀다.
이와 관련 23일 열린 도의회 제393회 문광위 2차 회의에서 이나연 도립미술관장이 제주비엔날레 사전 행사 성격의 '프로젝트 제주' 구상을 구체화하면서 논란에 불을 댕겼다.
여기에 평소 문화예술 향유를 위해 조사대상이 이용하는 매체나 방법 등에 대한 조사도 누락되는 등 제주비엔날레의 추진여부와 발전방안을 모색을 목적으로 한 설문조사의 취지가 무색해졌다. 김수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