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3주년 제주4·3, 화해·상생으로
2 전국화·세계화
등재 심사 추진 예상 객관적 자료 및 문서·문헌 확보 관건
결과 떠나 세계적 공감대 차원 등재 위해 역량 결집해야
제주4·3 전국화·세계화 추진사업 일환으로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등재를 위해 최대한 객관적 자료를 확보하는 동시에 전국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객관적 사실 입증 연구 필요
제주4·3평화재단을 비롯한 4·3관련 공공기관과 민간단체들이 진상조사를 통해 희생자·유족 명예회복과 왜곡된 역사교과서 수정 등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객관적인 자료 확보와 연구가 시급하다.
4·3기록물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 당시 공식문서와 문헌 등의 자료확보가 여전히 미흡하기 때문이다.
제주4·3의 중요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학술·비교연구 등이 필요하며, 유네스코와 세계가 공감할 수 있도록 진실규명과 공감대 형성이 시급하다.
제주도와 4·3평화재단은 4·3당시와 이후 진상규명운동을 증언하는 기록물을 수집해 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수집 대상은 해방 이후 1947년 3·1사건부터 1954년 한라산 금족령이 해제되기까지 4·3시기의 상황과 피해자들의 고통을 증언할 수 있는 문서, 편지·엽서, 사진, 영상, 유물 등이다.
4·3 이후 진상규명과정에서 4·3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시민들의 노력을 담은 각종 자료도 수집한다.
△기록물 분류 목록화 작업후 신청 계획
제주도는 지금까지 수집된 4·3기록물을 분류 및 목록화 작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등재신청서를 작성해 정부에 승인을 거쳐 유네스코에 신청할 계획이다.
기록유산 등재 당위성을 알리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오는 10월 워싱턴에서 국제 4·3인권 심포지어도 개최한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심사는 올해 진행될 것으로 보이지만 상황을 녹록치 않다.
문화재청이 유네스코에 제출하기로 한 동학농민혁명과 4·19혁명 기록물 등 2건이다.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 관련 규정에 따라 2년에 1회 국가당 2건의 기록유산 등재 신청을 할 수 있어 4·3기록물 등재 추진이 난항이 예상된다.
기록유산 등재에 앞서 제주4·3의 진실규명과 국제화와 진실규명 차원에서라도 객관적 자료 확보에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특히 한라산 등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과 해녀의 세계문화유산처럼 4·3 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전담부서 등을 운영하는 등 역량결집도 시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