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남·북 등록 인구 2배 이상 차이…반면 비율 서귀포시 높아
시설은 제주시권에 집중 접근성 열악…도, '중장기계획' 수립

제주지역 등록 장애인 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역 불균형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련 인프라도 한계를 보이면서 지역 격차 해소 등 과제가 산적하다는 지적이다.

26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도내 등록 장애인 인구수는 2010년 3만1874명에서 2015년 3만3510명, 2019년 3만6287명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장애 유형별로 살펴보면 2019년 3만6287명 기준 '지체장애인'이 1만4543명(40.1%)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이어 '청각장애인' 6232명(17.2%), '시각장애인' 4193명(11.6%), '뇌병변장애인' 3525명(9.7%)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가 2만4965명(5.10%)으로 서귀포시 1만1322명(6.24%)보다 인구수에서 약 2배 이상 차이 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전체 인구 대비 장애인 등록 비율은 서귀포시가 제주시보다 1.14%포인트 높은데다 전국 평균(5%)보다도 1.24%포인트 높은 상황이다.

반면 장애인시설의 경우 제주시 65곳(생활시설 25곳·이용시설 40곳), 서귀포시 24곳(생활시설 12곳·이용시설 12곳) 등으로 대부분 제주시권에 집중됐다.

게다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훈련)시설' '장애인의료재활시설'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등은 서귀포시에는 전혀 조성되지 않으면서 접근성마저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체계적인 맞춤 지원을 통해 도내 장애인 권익과 복지증진 실현 등을 위한 '장애인 종합복지 중장기계획(2021~2025년)'을 최근 수립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5대 핵심과제·63개 세부 추진과제로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일상생활 지원 △장애친화건강 및 보건 인프라 확대 △장애인 정보 접근 지원 강화 및 환경개선 등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장애인 정책 수립을 위해 지역 불균형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검토하고 진단했다"며 "핵심과제 등을 토대로 사업을 추진해 장애인의 생활 안정 및 자립기반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