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장소 외 물놀이객 등 안전사고 위험
구명장비 설치 안돼…계단높이도 제각각
서귀포시, "7~8월 안전요원 배치 예정"

여름 피서철 이전 제주지역 관광명소의 안전·방역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2일 서귀포시 황우지해안 출입통제선 바깥 해역에서 일부 피서객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신승은 기자
여름 피서철 이전 제주지역 관광명소의 안전·방역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2일 서귀포시 황우지해안 출입통제선 바깥 해역에서 일부 피서객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신승은 기자

여름 피서철 이전 제주지역 관광명소의 안전·방역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2일 서귀포시 황우지해안에는 물놀이를 즐기기 위해 방문한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황우지해안은 완만한 만 형태로, 물웅덩이 주위에 돌기둥처럼 선 바위섬이 파도를 막아줘 최근 스노클링 명소로 인기를 끌고 있다.

관광객들은 저마다 구명조끼나 스노쿨링 장비 등을 가지고 물놀이를 즐기는 모습이었다. 일부는 샌들, 슬리퍼 등을 신고 돌바위에 올라서는 등 위험한 장면도 연출됐다.

심지어 출입통제장소에서 구명조끼 등 제대로 된 장비를 갖추지 않고 수영을 하는 물놀이객도 목격됐다.

황우지 해안 물웅덩이를 제외한 해역은 현재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출입통제장소로 설정돼 있다.

출입통제장소 출입 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는 공고를 한 표지판이 설치돼있지만 구명장비 등은 설치돼 있지 않았으며 관리요원 등도 전무했다.

황우지해안으로 내려가는 계단 역시 높이가 제각각이고 폭도 좁아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됐다.

계단 높이는 낮게는 18㎝에서 높게는 30㎝가 넘는 등 어린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 위험할 뿐더러 폭도 좁아 내려가는 인파와 올라가는 인파가 뒤섞여 통행에 불편을 초래했다.

이처럼 6월 중순이면 도내 곳곳 관광명소에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지만 관리 기간은 7~8월로 상대적으로 늦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오는 7~8월 인명구조요원 4명, 방역요원 3명 등 7명을 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승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