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치권서 '정석 활용론' 부각
정석비행장 인근 주민 의견 미반영
"그동안 주민에게 말 한마디 없어"
표선-성산 지역 대립 가능성 대두

제2공항 예정부지.  자료사진
제2공항 예정부지. 자료사진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따른 제주 도민사회 갈등 해소를 위해 제주 출신 국회의원 등 정치권을 중심으로 정석비행장 활용 검토 필요성이 나오는 가운데 정치권이 제안한 대안이 자칫 또 다른 '민-민' 갈등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치권은 제2공항 건설과 관련해 제주도민 의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도 정작 정석비행장이 위치한 표선면 가시리 지역 주민 의견은 반영하지 않고 제3의 대안으로 '정석비행장 활용론'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송재호(제주시갑)·오영훈(제주시을)·위성곤(서귀포시) 국회의원은 최근 들어 제2공항 갈등 해소 대책으로 도민 의견 존중과 정석비행장 활용론을 제시하고 있다.

6월 26일 제주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제주를 방문한 김부겸 국무총리는 "제주지역 국회의원 3명 이야기를 나눴다"며 "제주 사회 갈등을 줄이는 방안을 제안하겠다고 하니 조금 더 지켜보는 것이 좋겠다"고 전했다.

하지만 제2공항 갈등 해소를 위한 제3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정석비행장이 위치한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지역주민들은 '당황스럽다'는 입장을 전하고 있다.

지역 주민 A씨는 "언론을 통해 제2공항 갈등 해소 대안으로 정석비행장이 거론된다는 사실을 알았다"며 "국회의원들은 그동안 가시리 마을에 정석비행장을 제2공항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말 한마디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지역 주민들이 반대한다는 이유로 제2공항 입지 선정 과정에서 전문가들이 제외한 정석비행장을 활용한다고 하면서도 표선 지역 주민 의견은 듣지 않고 있다"며 "제주해군기지 건설 입지도 화순리에서 위미리를 거쳐 강정마을로 변경했고, 이 과정에서 해당 지역이 겪었던 극심한 갈등을 이번엔 제2공항 때문에 반복하려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정치권이 제2공항 건설로 인한 갈등 해소 해법으로 정석비행장 활용론을 제시하기에 앞서 정석비행장 주변 지역 주민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은 채 대안만 제시해 또 다른 지역 간 갈등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치권은 전문가 의견과 지역 주민 등 도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신중하게 제2공항 갈등 해소 대책 등을 제안하고, 정부는 관련 절차를 신속히 이행해 제2공항 건설 여부를 조속히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윤주형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