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행충 감염·줄기 부패 지속
시, 외과수술·보호시설 설치

제주시 제공.
제주시 제공.

마을의 역사를 담은 상징목 보호수와 노거수들이 기후변화 영향을 받거나 병해충 감염에 노출되는 등 생육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21일 제주시에 따르면 현재 시가 지정 관리하고 있는 지역내 보호수는 116그루, 노거수는 51그루에 이른다.

보호수 유형별로는 팽나무 74그루·해송 29그루·기타수종 13그루다. 

노거수는 팽나무 46그루·멀구술나무 1그루·상수리나무 1그루·곰솔 2그루·느티나무 1그루다.

보호수는 '산림보호법'및 '제주특별자치도 보호수 및 노거수 보호관리조례' '자생식물 및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리요령'에 근거, 노목·거목·희귀목 등 100년 이상 수목 중에 지정된다.

그런데 지역내 마을 보호수나 노거수들이 병해충에 감염되거나 줄기가 부패되는 사례가 끊이지 않으면서 제주시가 생육환경 개선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시는 올해 병해충 등으로 생육환경이 불량한 조천리 회화나무 등 보호수 31그루에 대해 외과수술과 함께 보호시설 설치(9곳) 등 보호수 안전대책을 마련했다.

또 수세가 약하고 자연재해 등으로 정비가 시급한 한림읍 한림리 팽나무 등 노거수 46그루에 대해서도 수관밀도 조절 작업을 추진했다.

제주시는 지속적인 생육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산림자원인 보호수와 노거수를 보전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