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제주국제안전도시] 11. 인터뷰/ 배정이 인제대학교 교수 겸 부산시 국제안전도시연구센터장

배정이 인제대학교 교수
배정이 인제대학교 교수

감염병 범주까지 감시 포괄
안전도시연구센터 설립 검토
도민 주도형 안전사업 확산

"코로나19 이후 재난 장기화에 따른 환경과 위험목록 대응 위주의 안전정책 수립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사회재난과 자연재난에 이어 감염병 범주까지 확대한 과학과 빅 데이터 중심의 재난안전도시 선진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배정이 인제대학교 교수 겸 부산시 국제안전도시연구센터장은 최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와 4차 산업혁명시대에 혁신적 재난안전사업 선도를 통한 제주 국제안전도시 브랜드 제고를 주문했다.

배 교수는 "기후변화로 인해 재난이 대형화, 복합화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엄청난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감염병 펜데믹 상황을 감안할 때 통합형 손상감시체계 운영이 필요하며 기존 병원과 행정안전부(지역안전지수)·통계청 데이터 중심에서 벗어나 질병관리청의 감염병까지 포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시대와 맞물려 ICT 기반의 안전도시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씽크탱크 기관을 활용해 다양한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제적으로 분석하고 대응해야 한다"며 "부산 등 다른 지자체에서 운영중인 국제안전도시연구센터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재난안전사업 방향과 관련해선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선도하는 시민안전 서비스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며 △글로벌 안전네트워크 허브도시 조성사업 시도 △기존 재난과 감염병 연계 복합재난 대응체계 마련 △VR·AR 기반 체험형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 △AI 및 스마트홈(loT) 기반 가정내 안전환경 조성·교육 지원 △감염병 취약지역과 시설 위주의 방역·구호대책 수립 등을 제안했다.

배 교수는 "제주소방안전본부가 매년 진행하는 가족단위 범도민 안전체험 한마당 행사는 모범 사례가 되고 있다"며 "제주도는 아시아에서 최초로 국제안전도시 4차 공인에 도전하는 만큼 도민 요구를 반영한 안전도시사업을 수행하고 도민이 주도하는 안전도시사업을 확산함으로써 안전문화를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 권·박시영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