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KAIST 29일 로켓 발사
돌풍으로 경로 벗어나 낙하
"탑재 센서 정상 작동 성과
…제주서 수시 발사 계획중"

29일 오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포구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길이 3.2m, 지름 19㎝, 무게 51㎏ 규모 소형 과학 로켓 시험발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오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포구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길이 3.2m, 지름 19㎝, 무게 51㎏ 규모 소형 과학 로켓 시험발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최초 민간과학로켓이 제주 상공을 가로질렀다.

제주도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대표 신동윤)는 29일 오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해안에서 첫 민간 과학로켓인 '블루웨일 0.1'을 발사했다.

이날 오전 11시53분께 발사된 '블루웨일 0.1'은 5초 동안 하늘을 날다 덜컹거리며 곧 용수리 해안에 떨어졌다.

돌풍으로 로켓이 경로를 벗어나자 내부에 탑재된 '자동비행중단시스템'이 작동했기 때문이다.

신동윤 대표는 "오늘 로켓은 예상한 대로는 날아가지 못했다"며 "하지만 당초 목표했던 대로 발사 후 로켓에 탑재된 센서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로켓 한 대를 더 제작하고 있다"며 "빠른 시일 내 문제점을 보완해 발사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사된 '블루웨일 0.1'은 길이 3.2m, 지름 19㎝, 무게 51㎏ 규모의 국내 최초 민간과학로켓이다. 액화산소와 에탄올 등 친환경 연료로 만들어졌다.

KAIST 항공우주공학과 학부생 등 30명으로 구성한 항공우주 스타트업인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와 교수 등이 참여해 3년 간 개발했다. 

29일 오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포구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길이 3.2m, 지름 19㎝, 무게 51㎏ 규모 소형 과학 로켓 시험발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오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포구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길이 3.2m, 지름 19㎝, 무게 51㎏ 규모 소형 과학 로켓 시험발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시험발사는 실제 상용화할 로켓 개발을 위한 선행 프로젝트 성격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발사체 시험에 큰 제약이 없는 제주 지리적 이점을 통해 제주가 우주개발 산업 거점으로서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된 사례다. 

이승섭 KAIST 교학부총장은 "카이스트는 앞으로 중고등학생까지 로켓을 연구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장을 조성해 나가겠다"며 "로켓 발사지 최적지인 제주에서 수시로 시험발사할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제주도와 KAIST는 지난 7월 5일 '민간분야 우주개발 관련 연구 및 교육 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과학 로켓 개발, 시험·지역 교육, 과학대중화사업 등에 협력하고 있다. 이은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