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연, 11일 도청서 설명회
국가위성운영센터 운영 본격
관제·영상 처리·위성 개발 등
우주 관련산업 단초 '기대감'

국가위성운영센터 위성관제실에서 연구원들이 관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국가위성운영센터 위성관제실에서 연구원들이 관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국가 저궤도 인공위성 운영 임무가 제주에서 본격 수행된다. 관련 인프라 등도 지속 확대될 것으로 보이면서 우주산업 단초가 될지 기대감이 모인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11일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국가위성운영센터 설명회를 열고 제주시 구좌읍에 위치한 국가위성운영센터 운영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국가위성운영센터는 기존 대전 항우연 시설이 관제·수신 한계에 도달함에 따라 우리나라가 보유한 국가 저궤도 인공위성을 안정적·효율적으로 통합 운영하기 위해 구축된 시설로, 지난해 11월 문을 열었다.

센터는 오는 6월까지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5호와 차세대중형위성 1호의 관제, 수신, 영상처리 및 배포 등 운영을 대전 항우연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이관받을 예정이다.

지난해말까지 다목적실용위성 3호와 3A호 2기의 위성 운영 업무를 넘겨받아 수행하고 있다.

센터는 위성 운영을 위한 종합관제실과 임무관제·정보수신·영상처리를 위한 데이터 서버, 안테나 3기 등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정부의 제4차 국가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따르면 우리나라 저궤도위성이 오는 2030년까지 70여기까지 늘면서 다목적실용위성 6·7호, 차세대대중형위성 2·3·4·5호를 비롯한 다수의 초소형 위성이 발사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센터가 운영하는 위성수도 지속 증가하면서 안테나 등 인프라와 상주 인력과 위성 관제, 영상처리, IT, 네트워크, 보안 등 첨단기술 전문인력 등도 지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센터는 향후 위성영상 검보정 시설 구축, 위성정보 빅데이터 생산, 위성정보 활용기술 연구개발, 재난재해 대응 지원 등을 위한 위성 운영 고도화를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국가위성운영센터는 앞으로 획기적으로 증가될 다수의 저궤도 국가 위성을 활용하기 위한 핵심시설"이라며 "단순히 위성 운영에 그치지 않고 위성이 획득한 정보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첨단 연구개발도 지속 추진해 제주와 우리나라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신승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