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기회발전특구 기대효과·과제
장기운영효과 연 4700억
일자리 창출·세수확충 등
산단 전환·기업유치 속도
지하수 논란해소 등 주문
하원테크노캠퍼스지구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서 지역소멸을 타개할 마중물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장기 운영효과로 연간 4700억원 이상의 경제효과와 이에 따른 일자리 창출, 세수확충 등이 기대되는 가운데, 추가 연관기업 유치와 지하수 관련 논란 해소, 산업단지 전환 속도전 등이 과제로 제시된다.
△연간 경제효과 4700억
정부는 지난 20일 열린 정부 지방시대위원회 제1차 기회발전특구 지정심사에서 하원테크노캠퍼스지구(30만2901㎡)를 기회발전특구로 선정했다.
이번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따라 각종 세제·부담금을 감면받게 되고 추가 지원 인센티브에 대한 국고 지원을 받게 되면서 기업유치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앞서 제주도는 ㈜한화시스템과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2개 앵커기업과 투자규모 1111억원, 고용인원 415명 등을 골자로 하는 투자협약을 체결한 상황이다.
이외에도 제주연구원이 수행한 경제성 분석에 따르면 단기 건설효과로 1412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627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979명에 대한 고용유발효과가 기대된다.
장기적인 운영효과는 연간 생산유발효과 3818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897억원, 고용유발효과 481명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안정적인 세수확충 창구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 향후 연관기업 유치가 이어질 경우 지역내 양질의 일자리가 잇따라 창출될 전망이다.
제주도는 현재 4% 수준인 지역내 제조업 비중을 2030년까지 10%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논란 해소·속도전 등 관건
제주도가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따른 혜택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통해 하원테크노캠퍼스를 산업단지로 전환하는 절차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인근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도 요구된다. 도는 지난 3월 하원마을과 기업, 도, 서귀포시가 참여하는 소통상생협의체를 구성한 바 있으며 마을의 요청사항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협의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기회발전특구 지정 확정에 따른 이점을 바탕으로 한 추가 연관기업 유치도 관건이다. 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에 따른 입주 희망기업은 9곳, 잠재기업 유치 기업군은 26곳 등이 있다.
또 최근 제기된 한화그룹에 대한 편의제공 의혹과 지하수 보전 기조 훼손 등에 대한 우려 역시 조속히 해소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 제주녹색당은 지난달 논평을 내고 "한화가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인 옛 탐라대학교 부지에 위성공장 기공식을 한데 이어 중산간에 대규모 관광단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제주도가 개발행위 인허가 과정을 유독 한화에게 관대하게 진행하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