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14일 독일 베를린서
4·3 국제특별전 개막식 개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 신청된 제주4·3 기록물에 대한 역사적 가치가 전세계로 알려진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4일 독일 베를린 팔레포퓰레르(PalaisPopulaire)에서 '제주4·3 국제특별전 개막식 및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전시 '제주4·3기록물: 진실과 화해에 관한 기록'은 제주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국제적 공감대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럽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제주4·3 전시회로 의미가 깊다.
전시회 개막식은 김애숙 정무부지사와 임상범 주 독일 대한민국대사, 독일연방의회 외교위원회 위원인 토비아스 바헐레(Tobias B. Bacherle)의 축사로 시작됐다.
개막 공연에서는 독일에서 활동 중인 제주 출신 성악가 부종배와 제주 출신 작곡가 겸 모던피아니스트 문효진의 피아노 공연이 펼쳐졌다.
행사에는 독일 현지 기자단과 외교단 수십명이 참석, 제주4·3기록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문혜형 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위원회 공동위원장가 직접 가족사를 소개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문 할머니의 아버지 고(故) 문순현 씨는 대구형무소 수감 중 6·25전쟁으로 행방불명됐다. 이후 배우자에게 보낸 편지가 4·3기록물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신청에 포함된 바 있다.
특별전은 4·3의 연대기와 과거사 해결을 위한 노력을 영상, 사진, 기록물 복제본 등 다양한 매체로 선보였다. 특히,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4·3 장편소설「작별하지 않는다」도 전시, 현지인들의 주목을 받았다.
심포지엄에서는 국내외 전문가와 학자들이 참석, 4·3의 역사적 가치를 공유했다. 댄 스미스(Dan Smith) 스톡홀롬 국제평화연구소장은 기조연설에 나서, 평화를 위한 진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연구소장은 지난 2021년 제주4·3평화상를 수상한 바 있다.
이어서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이 주제 발표에 나섰다. 김 이사장은 도민들의 희생을 해결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 대통령 사과, 진상조사 보고서 확정 등의 노력을 알렸다.
종합 토론에서 참가자들은 제주4·3 갈등 해결 과정이 세계적 사례로 평가받을 만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유철인 제주대학교 교수는 제주 4·3기록물의 역사적 가치와 중요성을 알렸다. 유 교수는 "이 기록물에는 당시 군사재판에서 선고된 수감자 관련 문서, 피해자와 유가족의 증언, 진실과 화해를 위한 시민 운동 자료, 제주4·3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상조사 자료가 포함돼 있다"라고 말했다.
오영훈 지사는 "4·3기록물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 제주인들이 화해와 상생을 통해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과정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과 맥을 같이 한다"면서, "유럽 특별전을 계기로 제주4·3의 갈등해결과정을 전 세계적 롤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국제적 공감대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전시는 오는 20일까지 진행되며, 16일~22일 영국 런던 브런즈윅 아트 갤러리(Brunswick Art Gallery)에서도 이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