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2명 외 생존 확률 희박 
착륙 직전 '버드스트라이크'
활주로 시설물 충돌에 반파
랜딩기어 내리지 않고 사고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 제주도민 2명을 포함해 승객과 승무원 대부분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기체 후미에서 부상을 입은 승무원 2명을 구조했지만, 남은 승무원 및 승객과 관련해서는 "생존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29일 소방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3분께 태국 방콕에서 출발한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무안국제공항 활주로로 착륙 중 사고를 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여객기 기체는 활주로 주변 시설물과 충돌해 반파됐고 불길에 휩싸였으며, 꼬리칸을 제외하면 형체가 남지 않을 정도로 불에 탔다.

사고가 난 기종은 B737-800으로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등 181명이 타고 있었다. 승객 175명 중 한국인은 173명이며 나머지 2명은 태국인인 것으로 잠정 분류됐다.

소방 당국은 오전 9시46분께 초기 진화를 마치고 기체 후미에서 부상자 2명을 구출했다. 부상자 2명은 모두 승무원으로,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 당국은 오후 6시 현재 사망한 176명도 수습했다. 전남소방본부는 브리핑을 통해 남은 승객과 승무원과 관련해 "생존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발표했다.

제주도에 따르면 희생자 중에는 제주도민 2명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지역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추가 대책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한편 국토교통부가 29일 진행한 사고 브리핑에 따르면 무안국제공항이 사고여객기에 착륙 직전 '조류 충돌(버드스트라이크)' 주의를 준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여객기는 조류 충돌 경고 후 1분 후에 조난신호를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5분 만에 사고가 발생했다.

국토부 항공정책실은 이날 오전 8시57분께 무안공합 관제탑은 사고기에 조류 충돌을 경고했고, 1분 후인 8시58분께 사고기 기장이 메이데이 신호를 보냈다. 이후 사고기는 오전 9시께 당초 착륙해야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통해 착륙을 시도했다. 이후 9시3분께 랜딩기어를 내리지 않은 채 활주로에 착륙하다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 사고의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기까지는 최소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