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과 한국전쟁 당시 제주도민들은 공권력에 의해 억울하게 희생됐고, 유족들은 수십년을 숨죽이며 살아야 했다. 2000년대 들어서야 제주4·3에 대한 진실규명이 이뤄지고, 당시 정부가 마구잡이식으로 매장해 행방불명됐던 유해들이 발굴되면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희망이 생겼다. 제주4·3 당시 희생된 유해를 최대한 예우하는 것도 정부가 책임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유족들은 오랜 세월 가족이 어떻게 희생돼 어디에 시신이 묻혀있는지 모르고 살면서 한이 맺혔다. 정부가 이들 유족의 억울함을 풀어주지 못할망정 또 가슴에 대못을 박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다. 정부가 한국전쟁기 집단학살터에서 발굴한 유해들을 한꺼번에 화장해 합사해 안치하는 계획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30여년전 다랑쉬굴에서 발견된 4·3희생자 유해 11기를 정부가 일방적으로 화장해 바다에 뿌린 것을 연상케 하면서 유족은 물론 도민사회가 분노하고 있다.

70여년전 대전 골령골, 경산 코발트 광산, 김천 돌고개 등지에서 집단 학살된 유해들 중 4·3희생자의 유해도 포함돼 있고, 이를 유족들이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정부는 집단화장 및 합사할 경우 4·3 희생자 유해 봉환을 영원히 가로막는 폭거를 저지르게 된다. 정부는 행정적 편의를 내세워 유해를 합사해서는 안된다. 희생자와 유족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주4·3유해 신원을 확인하고 제주로 모셔야 한다. 이것이 정부의 당연한 도리이자 책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