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제주도가 2011년부터 지정한 착한가격업소들은 물가안정에 한몫하고 있다. 하지만 몇 년간 지속되는 경기 침체와 고물가 압박을 견디지 못해 자진 철회하거나 폐업하는 사태가 속출해 안타깝다. 전기·가스요금과 상수도 사용료 감면 등 연간 두 차례의 행정 지원책과 내부 원가 절감으로 버티고 있지만 매년 상승하는 물가를 따라잡을 수 없어 '자진 취소'를 선택하고 있다. 고육책으로 음식값을 1000원 인상하려고 해도 정부의 불허로 포기하는 것이다. 

최근 3년간만 해도 2021년 12건, 2022년 31건, 2023년 24건 등 매년 취소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착한가격업소들이 폐업을 감수하면서까지 장사할 수 없다는 절박함이 배어 있다. 설상가상으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해 아예 문을 닫는 곳도 적지 않다. 2021~2024년 4년간 제주시지역의 착한가격업소 784곳 중 98곳이 폐업했다.

정부·도가 착한가격업소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면 현행 지정 기준 및 지원 수준이 고물가 현실에 부합한지를 되돌아봐야 한다. 현행 가격, 위생·청결, 공공성 등 착한가격업소 지정 및 유지 기준에 비해 행정당국의 지원책이 불합리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그래서 저리 금융 지원과 매출 증대를 견인할 홍보 강화 등 추가 지원책도 모색해야 한다. 착한가격업소가 물가안정에 계속 기여할 수 있도록 업주 의견을 토대로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