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잇따르는 악재로 위기에 처한 제주관광을 살리기 위해 제주도가 비상대책을 내놨다. 현재 제주관광은 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지고 있는 탄핵정국과 불경기, 항공편 감축 등 외부충격 외에도 고물가 논란 등 스스로 초래한 문제까지 더해져 총체적 난국이다. '환골탈태' 수준의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진 상황에서 도정이 지난 7일 제주관광혁신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4대 핵심사업을 발표한 것은 고무적이다.
특히 4대 핵심사업 가운데 바가지요금 감독·관리를 비롯한 관광물가 관리체계 마련은 제주관광이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로,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도정의 총력전이 요구된다. 타 지역과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내국인 관광객 유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지역화폐를 활용한 대국민 여행지원금 지원이나 제주여행주간 운영 등의 핵심사업들도 비용대비 효과를 면밀히 분석해 실효성 있는 대책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다만 제주관광이 위기를 기회 삼아 대혁신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행정의 노력 외에 관광업계의 적극적인 실천 의지가 뒷받침돼야 한다. 지난해 해수욕장들이 합심해 파라솔 가격을 일제히 인하한 것처럼 관광물가 안정화 노력과 친절 캠페인 등 긍정적 이미지를 지속 확산시키는 것이 첫 걸음이다. 아울러 도정과 유관기관, 관광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대안을 모색하는 현재의 혁신 바람이 동력을 잃지 않도록 도민사회의 관심도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