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011년부터 마을기업 육성에 나섰다. 마을주민이 지역 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으로 지역민에게 소득·일자리를 제공해 지역발전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이끌 수 있도록 매년 마을기업을 선정·지원하고 있다. 제주만 해도 현재 마을기업 43곳이 운영중이다. 마을기업이 첫 설립된 2011년 11곳과 비교하면 양적으론 4배 급증했다. 하지만 대부분 매출액 규모가 저조해 소득·일자리 창출 등 질적 성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마을기업 운영난은 일반 기업보다 취약한 경영 마인드와 마케팅, 판로난 때문이다. 도내 43곳 중 높은 매출과 브랜드가치를 보유해 기업성과 지속 가능성을 입증한 '모두애(愛)' 마을기업도 2곳에 불과하다. 마을기업 활성화가 요원하자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가 최근 제주를 방문해 지원방안을 논의했지만 구체적인 해법은 오리무중이다. 다만 제주도와 협력을 강화해 맞춤형 컨설팅 등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혀 후속 조치에 관심이 쏠린다.
마을기업이 활성화되면 농어촌 등 지방이 현재 직면한 소멸 위기 극복의 활로를 마련할 수 있다. 그래서 행안부·제주도는 마을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구체적인 지원책 등 후속 조치를 시급히 제시해야 한다. 상품 개발·마케팅·경영 컨설팅 관련 비용 외에도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마을기업 제품을 우선 구매할 수 있는 소비자 등 지역사회 네트워크 협력체계 구축도 필수다. 행안부 차관보의 현장 방문이 '희망고문'으로 그쳐선 안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