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에너지 특구)' 공모가 임박하면서 제주도가 유치전을 본격화했다. 제주도는 내달 예정된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에너지 특구 선정 공모를 앞두고 그제 '제주 분산에너지 지원센터'를 개소했다. 분산에너지 지원센터는 앞으로 정부의 특구 공모 준비는 물론 도내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 계통 안정화를 전담할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전담기구 설치에서 제주도의 강력한 분산에너지 특구 유치 의지가 읽혀진다.
제주도 재생에너지 보급률이 전국 1위의 성장세와 위상을 감안할 때 분산에너지 특구 유치는 필수 과제다.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면 한국전력 외의 다른 전기판매사업자와 직접 거래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 과다 공급 때문에 발전기를 강제로 멈추는 출력제한의 해소가 가능하다. 특히 직거래로 저렴한 전력 공급이 가능해 분산에너지 신기술을 활용한 첨단산업과 기업 유치는 물론 연관 신산업 육성으로 새로운 성장동력까지 창출할 수 있다.
분산에너지 특구의 이점이 많기에 다른 광역지자체 10곳도 유치를 희망해 치열한 경쟁을 예고한 상태다. 제주 역시 유리한 고지 점유를 위해 전력 다소비 업종인 데이터센터 유치에 이어 국내 최대 전력 생산·수송·판매 공기업인 한전의 협력을 이끌어내면서 분산에너지 특화사업 육성 기대가 크다. 문제는 상대적으로 약한 도세 극복이다. 정부 동향을 면밀히 살피면서 지역 국회의원과 명예 도민 등 제주 인맥을 총동원하는 등 사활을 걸어야 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