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7주년 제주4·3희생자 추념식 하루 뒤인 오는 4일 오전 11시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이 잡혔다. 여야 정치권은 물론 온 국민들의 시선이 집중돼 올해 4·3 추념일은 그야말로 폭풍전야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국가의 미래가 달린 중대한 선고인 것은 맞지만 선고 전날까지 국회 내에서의 치열한 대립으로 자칫 제주4·3 추념식 및 4·3 현안 과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소홀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다.
그간 추념식 때마다 정부를 대표해 누가 참석하고 추념사에서 어떤 메시지를 내느냐에 도민들의 이목이 쏠린 것이 사실이다. 정부의 입장에 따라 4·3특별법이나 국비를 비롯한 4·3 현안들이 큰 영향을 받기에 그럴 수밖에 없다. 이는 여야 정당 대표들도 마찬가지다. 때문에 아무리 정국이 혼란스럽다 해도 책임있는 인사가 추념식에 참석해 4·3 해결 의지와 대안을 밝히는데 절대로 소홀함이 있어선 안된다.
올해는 또한 여야간 초당적인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진보와 보수의 대립이 격화될수록 4·3을 이념논쟁의 장으로 끌어들이려는 시도가 앞서 반복돼왔다. 지난 2023년은 그 갈등이 극에 달해 제주4·3의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 정신이 무참히 짓밟힌 기억이 생생하다. 중앙 정치권이 이번 추념식을 계기로 4·3특별법 개정, 국가 차원의 치유 지원, 후속조치 이행, 왜곡 처벌 등 해결되지 못한 과제들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해 도민들로부터 박수를 받기를 기대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