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균 국민연금공단 제주지사장
"기금 투자를 잘해서 손실이 없도록 하고, 연금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운영을 잘했으면 한다"
매년 국민연금 서비스 대상자의 고객만족도 조사 과정에서 발췌되는 '고객의 소리' 주요 내용이다. 상위 10개 항목 중 국민연금 기금운용 관련 내용이 7개에 달할 정도로 국민들의 관심사가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국민의 소중한 노후 자금이자 책임준비금인 국민연금 기금이 잘 운용되고 있는지 주요 관심 사항 위주로 짚어 보도록 하자.
국민연금 기금은 누가 어떻게 관리하고 있을까.
국민연금 기금운용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가 기금 투자정책 및 자산배분 비중 등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이를 토대로 공단의 기금운용본부는 수익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자산군별 목표 비중에 따라 주식, 채권, 대체자산 등에 투자를 집행한다.
2024년 말 기준 국민연금 기금의 포트폴리오는 국내주식 11.5%, 해외주식 35.5%, 국내채권 28.4%, 해외채권 7.3%, 대체투자 17.1% 등으로 구성됐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조성된 기금 규모와 운용현황을 살펴본다. 국민연금 기금 적립금은 2003년 100조원, 2015년 500조원에 이어 2023년 1000조원을 돌파했으며 2024년 말 기준 1213조원에 이르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만 수익금이 160조원에 달하고 수익률은 15%를 기록했다. 1988년 국민연금에 기금이 설치된 이후 연평균 수익률은 6.82%이며 누적 운용수익금은 738조원이다.
마지막으로 국민연금 기금이 투명하게 운용되는지 톺아본다. 공단은 내부적으로 준법감시인을 별도로 둬 기금운용의 내부통제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감사실은 감사를 통해 자금 운용계획에 맞춰 운용되고 있는지, 업무상 위법 사항이 없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또한 국정감사와 감사원의 기관감사를 통해 기금운용 및 경영관리 실태와 관련해 상시적인 감사가 이뤄진다. 아울러 기금운용 지침에 따라 주요 투자현황 및 수익률, 거래기관 등은 기금운용 홈페이지에 공시한다.
요즘 연금개혁이라는 제목 아래 기금의 지속가능성이라는 단어가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과 관련해 막연한 오해와 불신을 거두고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는 성숙한 의식이 필요한 시점임을 강조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