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4만t 돌파→지난해 5만t 육박
국내 생산량 2배…제주 전체 57% 수준
문대림·김한규 국회의원에 요청안 전달
"물량 조정 시급 안정적 수익 보장해야"
최근 수입 키위의 물량 증가에 따라 제주 키위 농가들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민들의 수익성마저 저하되면서 키위 농가를 중심으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14일 (사)한국키위연합회에 따르면 외국산 키위 국내수입량은 2019년 3만3302t에서 2021년 4만1001t으로 4만t을 돌파했다. 지난해는 4만9650t으로 5만t에 육박하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기준 뉴질랜드산이 4만8205t으로 전체 97%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과 뉴질랜드의 FTA 체결 후 2020년 무관세가 발효된데 따른 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수입량이 국내 생산량에 2배에 달하면서 농민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제주는 2023년 기준 키위 재배면적 401㏊·생산량 1만2962t 수준이다. 전국과 비교해 제주는 재배면적의 경우 전체 31%(전국 1298㏊)지만 생산량은 57%(전국 2만2583t)에 육박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제스프리 키위(뉴질랜드 키위 재배자 협동조합)보다 가격 경쟁에서 국내 키위 농민들이 밀리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부 농가는 키위 재배를 중단하거나 다른 작물로 전환하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한국키위연합회는 최근 문대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갑), 김한규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을)과 면담을 통해 대책 마련 요청안을 전달했다.
(사)한국키위연합회 관계자는 "수입 키위의 과도한 증가로 국내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며 "수입 키위 물량의 적절한 조정이 시급하고 농민들의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경익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