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꽃가루 달력 개정판 발행

제주지역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발생 시기가 과거보다 일주일 가량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꽃가루 날림으로 불편을 겪는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2025년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달력’ 최신판을 발행했다고 15일 밝혔다.

꽃가루 달력은 제주를 포함해 서울과 강릉, 대전, 전주, 광주, 대구, 부산 등 8개 도시의 대표 알레르기 유발 식물 13종에 대한 꽃가루 수준을 4단계로 구분해 알려준다.

이번 개정판은 앞서 2007~2017년 자료를 토대로 2019년에 작성된 기존 달력을 갱신, 2014~2024년 관측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개정판 달력을 보면 측백나무와 참나무 등 수목류 꽃가루 날림 시기는 8개 도시에서 평균적으로 3일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무려 7일이 빨라졌으며 중부지역(서울, 대전, 강릉)이 평균 5일, 남부지역(대구, 부산, 광주, 전주)은 평균 1일이 빨라졌다.

이에 따라 알레르기 유발성이 높은 오리나무, 측백나무, 참나무 등 산기슭과 공원, 아파트 조경수로 흔히 볼 수 있는 수목류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이 과거보다 더 빨리 나타날 수 있어 등산이나 야외 활동 시 주의가 필요하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정도가 매우 강한 잔디는 봄과 가을 두 차례 꽃가루가 날리는데 연간 지역별로 꽃가루 날림이 지속되는 기간은 중부와 남부지역은 각각 10일과 3일씩 줄었지만 제주에서는 34일이나 길어져 지역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 하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을철 잡초류의 꽃가루 날림 지속 기간은 전국 평균 5일이 늘어나 야외활동 시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 꽃가루 달력 최신판은 국립기상과학원 누리집을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이번 최신판 꽃가루 달력이 알레르기 환자들의 야외활동을 지원하는 정보로 많이 활용되기를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보건기상 정보가 지속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