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에 전국의 관심이 뜨겁다. 15일 마감된 분산특구 공모에 11개 광역지방자치단체가 몰려들어 치열한 쟁탈전이 펼쳐졌다. 분산특구에 선정되면 중앙집중형 전력체계를 통하지 않고 발전사업자와 수요기업끼리 직접 전력 거래가 가능해진다. 도내 태양광·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가 과도하게 공급될 경우 발생하는 출력제한 문제를 해소하고 관련 신산업을 육성하는 기반이 될 수 있기에 제주도가 사활을 걸고 있다.
재생에너지 보급률이 20%를 넘어서는 전국 1위인 제주의 위상을 감안하면 이번 공모에서 제주형 분산특구 선정 기대감이 큰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2023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통과 이후 처음 시행되는 이번 공모가 '깜깜이'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불안 요소로 꼽히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5개 신청 유형을 안내하면서 정작 지정 개수를 알려주지 않았고, 특히 제주가 신청한 새로운 에너지 발굴 실증 중심인 '신산업 활성화' 유형에는 8개 지자체가 쏠린 상태다.
분산특구는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70%로 높인다는 제주도 에너지 대전환 정책의 핵심 기반이다. 분산특구 지정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도 2900억원 규모의 민간 투자와 1900여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 등 막대하다. 제주의 미래 성장동력임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이르면 다음달 말 이뤄지는 선정까지 공직자들은 물론 정치권과 도민사회가 역량을 결집해 반드시 1호 분산특구를 사수해야 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