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시예비치 29일 4·3평화상 수상 기자회견

제6회 제주4·3평화상 수상자인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77) 작가는 29일 "제주는 적극적인 저항 정신을 추구하는 신화의 섬"이라며 "영악한 악에 맞서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 답을 찾기 위해 제주에 왔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벨라루스 출신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작가는 이날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열린 수상자 기자회견에서 "적극적인 저항 정신은 오늘날 중요하게 작용한다"며 "이를 작가로서 어떻게 발전시킬지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수상으로 한국 방문이 3번째라는 작가는 수년 전 한국을 처음 방문했을 당시 만난 국내 작가를 통해 제주4·3에 대해 알게됐다고 전했다.

그는 "한 작가가 저를 '재난 작가'라고 칭하자, 재난이 아닌 저항하기 위해 힘을 축적하고 혼과 정신을 축적하고 기록하는 사람이라고 답했다"며 "그러자 한국에도 저항 정신을 담은 섬이 있다고 알려주며 레드 아일랜드(붉은 섬)에 대해 듣게 됐다"고 덧붙였다.

 

최근 비상계엄 사태를 겪은 한국 상황에 대해서는 "민주주의는 저항할 힘도, 뚝심도 없다고 생각하던 찰나에 한국에서 일어난 사태를 보게 봤다"며 "이같은 역사적 사건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은 시민 저항이야말로 진정한 힘이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 저항의 경험과 이를 공유하는 것을 한국사회가 전 세계에 보여주고 증명해줬다"고 "민주주의는 불의에 맞설 수 있는 저항의 힘이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다"고 전했다.

그는 "총체적 악이 보여주는 공포에 놀라 이리저리 움직이는 군중의 합창에 휩쓸리지 않고 외딴 곳에서 지켜보며 생각하고 판단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우리의 유일한 돌파구"라고 했다.

알렉시예비치는 2차 세계대전, 체르노빌 원전사고 등 역사적 사건에 취약한 개인, 특히 여성·아동의 고통과 생존 서사를 조명하고 기록해왔다. 2015년 대표작인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김은수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