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장미대선 제주현안과 과제 <6> 제2공항 찬반 논란

 

제주 제2공항 건설에서 '제주도의 시간'이 이뤄지고 있지만 갈등이 심상치 않다. 차기 정부는 제2공항 갈등을 뒷짐만 지고 볼 것이 아니라 갈등 해소를 위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 이유다.

지난해 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을 고시하며 장기간 답보하던 제2공항 사업에 진전이 생겼다. 

6월 조기대선을 앞둔 현재 제2공항 사업은 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첫 현장 심의회가 바로 오늘(16일) 열릴 예정이다.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의 경우 제주도가 협의기관인 만큼 '제주도의 시간'으로 불린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협의회 단계부터 반대단체가 '보이콧' 하고, 지역 주민들 또한 크게 반발하는 등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제2공항과 관련한 갈등은 어제오늘일이 아니다. 2015년 국토교통부가 제주 성산읍에 신공항, 즉 제주 제2공항을 짓겠다고 발표하면서 찬·반갈등이 시작, 10년 묵은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와 제주도의회가 제주도의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며 반대단체의 의견에 대해 철저한 검증을 약속하고 있지만 갈등은 진정되지 않고 있는 형국이다.

이번 대선을 계기로 찬성 단체와 반대 단체가 각각 '조속 추진'과 '백지화'로 맞붙으면서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형국이다.

이에 정부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다. 이제는 정부가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과 능력을 보여줘야 할 때라는 것이다.

이미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로 활시위는 당겨진 만큼, 차기 정권에서는 찬·반 단체를 중심으로한 갈등 해결에 실마리를 제시해야 한다는 당부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