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한 명의 교사가 스스로 삶을 마감했다. 도내 한 중학교에서 숨진 채 발견된 교사의 죽음에 지역사회가 큰 충격과 슬픔에 빠졌다. 특히 전교조 제주지부와 제주교사노조 등이 성명을 내고 진상규명을 촉구하면서 사건의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학생 가족의 민원으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호소해왔다는 교사 유가족의 호소, 교사의 휴대전화에 남겨진 부재중 전화 기록 등이 속속 드러나면서 학교 민원 대응체계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의문이 나올 수밖에 없다.
해당 교사가 마땅히 도움을 요청할 곳조차 찾지 못했다는 정황은 단순히 개인의 사정으로만 치부할 수 없는 심각한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 전례가 없는 것도 아니다. 서이초 사건 이후 교육부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수차례 밝혔지만 현장은 여전히 바뀌지 않았음에 실망을 금할 수 없다. 홀로 민원에 맞서는 교사들을 위해 이제는 교육부와 교육청이 실질적으로 교사를 보호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교육은 교사의 정신적 안전이 확보될 때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다. '교권 보호'가 더이상 선언적 구호에만 그쳐선 안된다. 교사를 악성 민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제도부터 시작해 교사를 위한 상담·지원 체계도 마련돼야 한다. 또한 교육당국은 이번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와 순직 인정 요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교단의 비극이 반복되는 현실을 멈추기 위해서는 이제 말이 아닌 행동이 필요하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