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탄핵으로 관심도 높아…투표율 높을 듯
민주·국힘 “투표율 높으면 우리가 유리” 주장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일이 임박하면서 이번 선거의 최종 투표율이 얼마나 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진행된 사전투표의 투표율이 역대 두 번째인 34.74%를 기록한 만큼 1997년 15대 대선 이후 28년 만에 투표율이 80%를 넘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서는 투표율이 높을수록 자신들에게 유리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민주당은 이번 선거가 12·3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대통령 탄핵에서 불거진 만큼 정권 교체를 바라는 유권자들이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 만큼 투표율이 높을수록 이재명 후보가 유리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특히 지난달 29~30일 실시된 사전 투표에서 전남이 56.5%의 투표율을 보이며 전국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민주당 지지층이 총결집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민주당측 분석이다.
민주당 선대위측 관계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진 제19대 대선에서도 77.2%의 투표율을 보였다”면서 “이번 대선 역시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에 이어 현직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진행되는 선거인 만큼 이전보다 더 높은 투표율을 보일 수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불리한 구도에서 시작된 대선이지만 지지율 격차가 크게 좁혀지면서 승산이 충분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달 28일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 이후 이재명 후보의 가족 리스크와 유시민 작가의 발언 등의 논란이 불거지면서 중도층 표심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중도층의 적극적인 참여로 투표율이 높아질수록 자신들에게 유리한 구도라는 분석이다.
장동혁 국민의힘 선대위 종합상황실장도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최근 새롭게 부정적인 리스크가 발생하고 있는 이재명 후보와 달리 김문수 후보는 후보자 개인이나 가족에 대한 특별한 리스크가 없다”면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고 투표율을 높이면 역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역대 대통령선거 중 가장 투표율이 높았던 선거는 김대중 후보와 이회창 후보가 맞붙었던 1997년 제15대 대선으로 당시 투표율은 80.7%다.
이후 대선과 총선, 지방선거에서 투표율이 80%를 넘긴 사례는 없으며 이 기간 최고 투표율은 지난 19대 대선에서 기록한 77.2%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선된 지난 제20대 대선의 투표율은 77.1%였으며, 가장 최근 선거인 제22대 총선의 투표율은 67.0%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