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폐기물 처리시설 봉쇄
"보상 이행 때까지 강경 대응"
쓰레기 운반 처리 차질 우려
양측 입장 첨예 사태 장기화
동복리 주민들이 제주도가 약속한 농경지 폐열 지원사업 이행을 촉구하며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를 이틀째 폐쇄하고 있다.
이 여파로 도내 쓰레기 대부분을 처리하는 시설이 폐쇄되면서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됐을 뿐만 아니라, 주민과 행정간 첨예한 입장차로 사태 장기화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은 지난 7~8일 환경자원순환센터에서 도가 센터 건립 당시 약속한 농경지 폐열 지원사업 이행을 촉구하며 진입로 봉쇄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
지난 7일 오전 8시 동복리 주민들이 앞서 예고한대로 진입로를 봉쇄해 쓰레기 수거 차량의 진입을 막았다. 공무원들이 천막 설치를 막으며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진입로가 막힌 오전 8시 이후 도착한 쓰레기 수거 차량 수십대는 3시간가량 줄지어 섰다가 결국 방향을 돌려 차고지로 향했다.
주민들은 8일에도 봉쇄를 유지한 채 진입로에서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졌다.
동복리는 도가 농경지 폐열지원사업 또는 그에 상응하는 사업을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며 도가 확실한 이행을 약속할 때까지 진입로 봉쇄를 풀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주민들은 입장문을 통해 "제주도는 동복리에 소위 혐오시설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를 설립하면서 농경지 폐열지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며 "그러나 제주도는 '사업 타당성이 떨어진다' '그에 상응한 사업은 수용할 수 없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병수 동복리 이장은 "13년간 숙원사업인 농경지 폐열 사업을 반드시 관철하겠다"며 "도정이 약속을 이행할 때까지 진입로를 봉쇄하겠다"고 밝혔다.
도가 동복리 주민들과 협의하지 못한다면 전에 없던 수준의 '쓰레기 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도내 쓰레기 90%가량이 동복리에서 처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순환센터에는 전문 소각시설과 매립시설 등이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도가 동복리와 협의를 보지 못해 민간업체에 위탁 처리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게될 뿐만 아니라 당장 센터 가동이 멈출 경우, 제주시 일대 쓰레기 운반 및 처리 일정에 차질이 예상된다.
제주도는 주민들의 주장과 관련한 공문서, 회의록, 협약서 등을 종합 검토 중이라며, 사실관계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도는 2015년 간담회에서 폐열지원사업과 관련한 제주시장의 구두 약속이 있었으나, 정식 협약서나 공문서에는 폐열지원사업이 명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동복리 측이 주장하는 '대체사업 추진 약속'에 대해서는 관련 공문서나 회의록에서 확인되지 않았다"며 "다만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을 위해 동복리 측이 근거로 제시한 2018년 협의 당시 녹취 파일 공유를 요청한 상태"라고 전했다.
이어 "동복리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상호 납득할 수 있는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녹취 파일이 제공되면 그 내용을 검토해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예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