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5차 중장기 계획 수립
보급대수 37만에서 16만으로
전기차 비중 75%→45% '뚝'
구매 보조금·충전 할인 감소
전문 인력 등 문제 해소 필요
제주도가 전기차 보급 계획을 '2030년까지 37만7000대'에서 '2035년까지 16만7000대'로 대폭 수정했다. 보급 목표연도와 목표대수를 현실화한 결과다. 하지만 목표 현실화 후에도 대내외 악재는 여전해 새로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의 제5차 전기차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목표는 2035년까지 16만7000대를 보급한다는 것으로, 제주 운행차량의 40%를 전기차로 전환한다는 취지다.
앞서 도는 2022년 제4차 전기차 중장기 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37만7000대의 전기차를 보급할 계획이었다. 당시 목표한 전기차 비중은 75%다.
하지만 실제 보급 현황과 전기차 산업 시장 동향을 반영한 결과 제4차 계획 달성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면서 이번 5차 계획에서 보급 목표가 대폭 수정된 것이다.
전기차 보급 목표연도가 늘어나고, 보급대수도 줄이는 등의 현실화가 이뤄졌지만 전기차 여건을 둘러싼 악재는 여전해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제 제4차 중장기 계획에서 제기된 각종 문제점이 3년이 지난 현재까지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매차 지적되고 있는 계획 대비 전기차 보급 목표 달성 미흡은 여전하며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 미설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 사업을 담당할 제주기업과 전문 인력 부족 등의 문제점도 있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 규모 감소, 충전기 설치보조금 지원 종료, 전기차 충전요금 할인 단계적 축소 등은 꾸준한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제주보다 경쟁력이 높은 타 지자체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으며, 내연기관 연관산업 종사자들과의 협의가 뒤따라야 하는 상황이다.
도가 보급 대수를 줄이는 등 현실화를 주장하는 만큼 악재 해소를 통해 확실한 보급 효과를 보여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도는 인센티브를 강화해 보급을 유도하는 한편, 충전 인프라를 강화한다.
특히 전기차 1대당 2.73기 수준의 충전기를 보급하는 등 도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접근성과 편의성을 갖춘 충전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한편 제5차 종합계획에는 '탄소중립형 전기차 도시 조성'을 비전으로 친환경 교통 인프라 보급, 전기차 산업 생태계 강화, 전기차 문화조성 및 제도 정비 등 3개 부문 8개 추진전략과 28개 세부전략을 담았다.
도 관계자는 "이번 종합계획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실현 가능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전기차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 환경 혁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