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조직개편 관련 조례안이 그제 제주도의회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었지만 조직 비대화와 인건비 상승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이번 개편으로 신설되는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과 건강주치의팀, 분산에너지지원센터 등이 직급 상향과 함께 추진돼 이에 따른 추가 인건비가 2029년까지 79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도의 설명처럼 일시적인 정원 증원이고, 일부 직급이 하향됐다고 해도 재정 부담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도의회의 지적처럼 조직 확대가 능사는 아니다. 그간 도정이 바뀔 때마다 조직 규모가 점점 비대해졌지만 지난 15년새 민간위탁 예산이 7배 넘게 증가하는 등 '도정의 외주화'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각종 센터 등 중간 조직도 80개에 달하는 현실이다. 외부나 중간조직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동시에 직제를 키운다면 자칫 이중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 도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조직개편은 정치적 정당성도 얻기 어렵다.

조직개편의 방향은 새 정부 출범이나 에너지 전환과 같은 시대 변화 대응 뿐만 아니라 내부 혁신과도 맞닿아 있어야 한다. 당장 필요한 변화에만 초점을 맞춘 무리한 확장은 장기적으로 도민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도는 일시적 정원 확대보다 기존 조직의 기능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재배치하는 방안은 없었나 반성해야 한다. 또 이번 개편안 통과에 마음 놓기보다 도민 요구에 맞는 실질적인 조직개선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