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제주지역 농촌경제가 말이 아니다. 지난해 여름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보았던 제주농촌이 올해 들어서는 풍작으로 심한 처리난을 겪고 있다. 특히 제주지역 농작물 가운데 주종을 이루고 있는 감귤과 당근 감자 값이 잇따라 떨어져 제주 농촌경제가 최대 위기에 처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농가들에 따르면 최소한의 영농비는 커녕 비료대와 종자대조차 건지기 힘들 정도라고 하니 지금 농가들의 어려운 형편은 상상을 넘고 있다.

오죽했으면 농민들이 제주도청 앞에서 집단시위까지 벌였겠는가 생각하면 농가 실정이 어느 정도인지 충분히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감귤의 경우는 15kg 1상자당 가격이 지난해의 4분의 1 수준인 6000원선에 머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근 역시 농가 수취가격이 유통비용의 절반 밖에 안되고 있다. 감자도 예외가 아니다. 때문에 농가에서는 대출받은 영농자재비와 자녀 학자금 등을 제 때에 상환하지 못해 빚더미에 앉을 수 밖에 없게 됐다. 더구나 지난해 집중호우에 의한 아픔이 채 아물기도 전에 당한 가격하락이어서 농가들에겐 이중의 고통이다.

문제는 농정당국의 대처이다. 농가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문제들을 신속히 파악하여 서둘러 대책을 세우지 않은 농정에 있다. 감귤을 비롯한 당근 등에 대한 농작물 가격폭락이 지금에 와서 일어난 것이 아니고 이미 예견된 일임에도 당국들이 뒤늦은 대책만 발표하고 있어서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발표에도 농민들은 쉬 신뢰하려 들지 않고 있다. 사태수습에 급급한 나머지 확정되지도 않은 정책을 발표했다는 지적도 있는데다 중앙건의에만 의존하고 있는 자치단체들의 대안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총체적인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농가에 대한 실천 가능한 대책이다. 어떻게든 위기를 넘겨보려는 일시적인 대안만 계속된다면 그것은 농민들의 아픈 가슴을 다시 울리는 격이 된다. 따라서 제주도를 포함한 자치단체는 물론이며 농협 등 관련기관과 단체에서는 이번의 사태를 제주지역 농촌경제의 최대위기를 여겨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리고 필요한 것은 장기적인 대책이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