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여가원, 26일 포럼 개최…연구 결과 60.6% 달해
남성 대비 22.8%P 높아…상당수 '자유로운 삶' 강조
출산·양육 등 한계 지적…"다양한 유연근무제 도입"

제주지역 청년 여성들의 결혼관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출산·육아 대책 확대를 위해 청년 여성의 경력 단절을 예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26일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와 청년 여성 정책 과제'를 주제로 '32회 제주 여성 가족정책 포럼 및 2회 제주·전라 여성 가족정책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과 함께 광주여성가족재단, 전남여성가족재단, 전북여성가족재단이 공동 주최다.

이날 선민정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연구위원은 도내 19~39세 청년 남녀 36명을 대상으로 '제주지역 청년 남녀의 일과 삶 실태와 성평등 공감 과제' 연구 내용이 담긴 '제주지역 청년 여성의 가족 이행 실태와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해당 발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청년 여성은 결혼에 대해 절반 이상인 60.6%가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음'이라고 답했다. '부정적'이라는 응답도 9.2% 수준이다.

이는 청년 여성이 결혼 필요성에 대해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경우가 청년 남성(47.0%) 보다 22.8%포인트 높은 셈이다.

특히 부정적인 주된 요인으로는 '자유로운 삶에 대한 포기 어려움'이 43.3%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어 '출산 혹은 양육 문제' 23.3%, '결혼자금 부족' 15.4% 등 순이다.

이 과정에서 청년 여성들은 결혼과 출산 등의 한계 요인으로 '경력 단절'을 꼽았다. 실제 '결혼, 출산 지원 정책 수요'를 묻는 질문에서 '청년 고용 등 일자리와 소득 안정화 지원'이 32.0%로 가장 높았다.

또한 청년 여성의 '출산·육아 대책 확대 수요'의 경우 '여성의 경력 단절 부담 완화'가 13.6%로 상대적으로 높은 실정이다. 나머지 '임신·출산 진료비 및 출산장려금 확대' '육아휴직 장려 및 급여 확대' 등의 정책 수요는 청년 여성과 남성 모두 높은 필요성을 보였다.

 

이에 대해 선민정 연구위원은 "돌봄 관련 정책 정보의 적극적 제공 등 더욱 두터운 돌봄 지원이 필요하다"며 "여성의 경력 단절 이유로 '출산 및 육아' 비중이 높기 때문에 기업의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 활성화나 다양한 유연근무제 도입 및 활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강보배 제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정책연구센터장은 "조사 결과를 보면 청년 여성에게 결혼은 개인의 자유를 제약하고 출산과 양육으로 인한 부담이 크게 느껴지는 영역"이라며 "이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이 필요하고 결혼 및 출산 의향 변화와 현실적인 지원 정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