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광장’ 제주권 없어
도민 제안 배제 가능성 커져
도정 발굴 정책 덩달아 위기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제주도민의 목소리를 소외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정기획위가 전국 곳곳을 방문해 현장 목소리를 듣지만 제주권역은 아직까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민의 목소리가 외면되고 있는 상황은 제주도정의 제안 역시 후순위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국정기획위원회를 중심으로 대선 공약 이행을 위한 선별 작업에 착수한 가운데 제주도정의 발빠른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정기획위는 지난 1일부터 오는 24일까지 전국 4개 권역을 방문해 현장과 소통하는 ‘버스로 찾아가는 모두의 광장’ 상담 및 접수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을 돌며 국민제안을 받는 경청투어를 진행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7월 1주 강원권을 시작으로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등 접근성이 좋은 거점도시로 한정되면서 제주는 섬 특성상 소외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실제 2일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실에 확인한 결과 관계자는 “아직까지 제주 일정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다.
제주도내 산적한 현안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도민의 목소리까지 소외될 위기에 처하며 도정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도민의 목소리가 국정기획위에 닿지 않는데, 도정의 목소리가 반영될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제주도는 새정부에 7조8451억원 규모의 43개 과제를 제시했다.
하지만 전국 지자체가 앞다퉈 대응 예산과 논리를 마련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주도가 후순위로 뒤처질 경우 결국 도민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지역 국회의원 및 제주 관계자들과 긴밀한 공조 체계를 구축해 제주의 핵심 정책만큼은 우선순위로 둘 수 있도록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