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진입로 봉쇄 해제]
소각장 처리 이틀만에 재개
3일 협의체 감시단 봉쇄 풀어
"근본적 대책 마련" 목소리
도내 폐기물 90% 이상을 처리하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쓰레기 소각장) 봉쇄 사태가 주민들의 집단행동 이틀 만에 가까스로 최악의 상황을 피했다.
다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없어 또다시 폐기물 처리 대란에 대한 불씨는 남아있는 상태다.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와 북촌리 주민들로 구성된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주민지원협의체 감시단은 3일 오후부터 진입로 봉쇄를 해제했다.
앞서 감시단은 2일 오전 7시부터 제주시 쓰레기 수거 차량의 진입을 막아왔다.
이들이 쓰레기 차량을 검사한 결과 종량제 봉투에 재활용품이 섞여 있거나 음식물 등이 담겨있는 채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고 반입을 저지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센터에는 쓰레기를 비워내지 못한 차량이 길게 늘어섰고, 일부는 그대로 차고지로 복귀하면서 클린하우스 쓰레기 수거에 차질이 빚어졌다.
지난달에도 센터에서는 마을 지원사업을 두고 동복리와 제주도 사이에 갈등이 빚어져 나흘 동안 쓰레기 반입이 봉쇄된 바 있다.
이번 사태는 지난달 초 동복리 주민들이 환경자원순환센터의 진입로를 봉쇄했다가 푼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벌어진 일이다.
일각에서는 이와 같은 주민들의 쓰레기 차량 저지 행위는 행정의 권한을 넘은 월권행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반면 행정이 운영 기준에 맞게 쓰레기 처리를 관리·감독하지 않으면서 주민들이 소각장에 나온 것이라는 비판도 잇따르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동복리 주민협의체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부에 재활용과 불연성 쓰레기를 반입 금지하기로 한 것은 지난 2014년 제주도의 약속 사항"이라며 "제주도가 쓰레기 배출 관리를 제대로 지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도 관계자는 "재활용품 쓰레기 등이 종량제 봉투에 섞여 있는 것은 일부에 불과하고, 섞여 반입된다고 하더라도 센터 내부에서 선별해 처리 가능하다"며 "이번 사안과 관련해 주민들과 합의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예린 기자


